d라이브러리
"단위"(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도달하는 면적은 발사지점의 면적과 동일한 8cm2다. 10kW의 에너지가 8cm2 면적에 집적되면 단위면적 당받는 에너지는 약 1.25kWcm-2다. 이 정도 히트 비전이면 두께가 5mm인 강철판은 자를 수 있다. 그러나 미사일을 요격하는 무기로 쓰려면 이런 레이저 빔이 100개는 필요하다. 그럴 땐 슈퍼맨이 두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단백질 분석에만 쓰인다. kDa(킬로달톤)Da는 달톤이라 부르며 원자의 질량을 나타내는 단위다. 탄소원자 질량을 12로 나눈 값을 1Da로 정의한다. k는 1000을 뜻한다. X선 결정학은 결정을 강한 X선으로 회절시킨 뒤 그 패턴을 역으로 계산해 구조 정보를 얻는다. 이 방법의 경우 분자 크기에는 제한이 ...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기적 유전자’의 학문적 공헌은 눈부시다. 복제자와 운반자를 구별해 자연 선택의 단위는 유전자임을 확립했고, 유전자 선택론의 토대 위에서 포괄 적합도, 상호 이타성,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 등 당대에 쏟아지던 다양한 아이디어를 일관되게 통합시켰다. 도킨스가 지난 이십여 년간 과학의 ... ...
- [과학뉴스] 생물인 듯 생물 아닌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단백질을 만들 수 있는 시스템을 거의 갖추고 있어요. 단백질의 기본 단위인 아미노산을 만들 수 있는 유전자를 25개 이상 갖고 있었지요. 또, 이 바이러스에서는 다른 바이러스에는 없는 새로운 유전자가 724개나 발견됐어요. 바이러스가 아메바나 조류 등 다른 생물의 몸속에 살면서 유전자를 훔쳐와 ...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고도 근시다. 의학적으로 명확한 기준은 아니지만 보통 렌즈의 굴절력을 나타내는 단위인 디옵터(D)가 -6이 넘으면 고도 근시라고 볼 수 있다. 고도 근시는 성인이 돼서도 눈의 크기가 계속 커진다. 안구 내부는 망막이라는 신경막이 마치 벽지처럼 발라져 있다. 그리고 망막 아래 혈관층(맥락막)이 ... ...
- 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돼야 한다”며 “체온과 비슷한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했다면 생리대 고분자 섬유 속 단위 분자가 방출될 가능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다른 가능성은 접착제와 향료다. 외품기준에는 ‘사용하지 않는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의복에 고정할 수 있어야 한다’ ‘방취 목적으로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사람의 옛 신체와 새 두뇌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당시까지 알려진 가장 미세한 시간 단위까지 측정할 수 있는 장치와 이론이 필요했고, 그 대부분은 제 스스로 만들어 내야 했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다들 그 일에 관심이 많지 않았던 탓입니다. 또한 실험 대상을 고르는 일도 쉽지 않았습니다. ... ...
- Part 2. 오빠에게서 방을 사수하라!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그런데 문제가 있어. 분배 방법을 제시하는 사람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거든. 돈의 최소 단위가 만 원일 때, 오빠가 방법을 제시하면 자기가 큰 방을 가지면서도 최대한 돈을 적게 내기 위해 6만 원을 주겠다고 할 거야. 동생은 자기가 생각하는 큰 방의 가치인 5만 원보다 6만 원이 크니까 작은 방을 ... ...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모세혈관이 하나도 없는 부위를 보유한 장기다. 바로 눈이다. 사실 눈은 우리 몸에서 단위 무게당 모세혈관이 가장 많이 모여 있는 장기다. 특히 망막 뒤쪽에는 두께 0.2~0.4mm인 ‘맥락막’이라는 일종의 ‘벽’이 있는데, 이곳에 모세혈관이 밀집해 있다. 맥락막은 외부에서 들어온 빛이 공막 ...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따라서 ‘이기적’이 되는 단위는 종도, 집단도, 개체도 아니라 유전자이다. 선택의 단위가 유전자라는 명제로부터 유전자나 개체가 정말로 이기적인 동기를 지닌다는 함의를 끌어낼 수는 없다. 잠깐, 그렇다면 “관용과 이타성을 가르치도록 노력하자. 우리는 이기적으로 태어났기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