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위"(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지구 생명체 기원의 ‘미싱링크’ 찾았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가스와 먼지에서 인-질소 화합물에 대한 증거를 발견했으므로 그 물질이 생명체의 단위 분자 출현에 역할을 했다는 것은 확실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화학’ 11월 6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doi:10.1038/nchem.287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것이다. 인공 신경망은 크게 4개 층으로 나뉜다. 첫 번째 층에서는 얼굴을 픽셀 단위로 쪼갠다. 두 번째 층에서는 각 픽셀마다 명암의 변화 부위를 찾아낸다. 세 번째 층에서는 눈코입 등 부위마다 특징값을 뽑아낸다. 그리고 마지막 층에서는 얼굴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파악한다. 실제로 개발된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구성된 ‘과학 자문위원회(BSC)’가 평가를 한다. 보통 PI 5~6명이 모여있는 연구실 단위로 10여 명의 BSC 위원이 평가를 한다. 1년 전 연구자들에게 평가 일정과 가이드라인 등이 공지된다. 연구책임자들은 A4 용지 25장 분량의 성과보고서를 작성해 평가 두 달 전까지 제출한다. 1998년부터 ... ...
- Part 1. 72시간 동안 태백산맥이 활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헥타르) : 면적 단위로, 1ha는 가로세로 100m와 같은 넓이다.이번 산불은 72시간 안에 여의도보다도 넓은 면적의 숲을 잿더미로 만들었어요.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요?6일 11:42 산불 발생지난 5월 6일 전국 16곳에서 산불이 발생했어요. 13곳은 빠르게 진화 됐지만 강원도 강릉시와 삼척시, 그리고 경북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불구하고 이런 작지만 큰 변화는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더욱 중요해진다. ‘완벽한 단위’를 찾는 과학자들의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이광철KAIST에서 물리학 학사, 포스텍에서 기계공학 박사를 받았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키블 저울을 개발하고 있다. kclee@kriss.re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더 말해 무엇 하겠는가. 양자컴퓨터 상용화 본게임 시작양자컴퓨터는 ‘큐비트’라는 단위로 정보를 저장한다. 지금 컴퓨터의 ‘비트’에 해당한다. 비트는 0 혹은 1로 저장 되지만, 큐비트는 0인지 1인지 관측하기 전까지 알 수 없고, 0과 1이 겹쳐 있는 ‘중첩’ 상태로 유지된다. 양자의 대표적인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집 라돈 프로젝트, 실내 공기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만에 라돈 농도가 5.11●pCi/L로 치솟았어요!”●피코큐리(pCi) : 라돈 등 방사선의 측정 단위.1큐리(Ci)는 라듐 1g이 1초 동안 방출하는 방사능의 양이며, 피코큐리(pCi)는 1조분의 1큐리를 말한다.우리나라의 실내 라돈 농도 권고기준은 4pCi/L예요. 그래서 실시간 측정기 라돈아이는 라돈 농도가 기준치인 ...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도달하는 면적은 발사지점의 면적과 동일한 8cm2다. 10kW의 에너지가 8cm2 면적에 집적되면 단위면적 당받는 에너지는 약 1.25kWcm-2다. 이 정도 히트 비전이면 두께가 5mm인 강철판은 자를 수 있다. 그러나 미사일을 요격하는 무기로 쓰려면 이런 레이저 빔이 100개는 필요하다. 그럴 땐 슈퍼맨이 두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단백질 분석에만 쓰인다. kDa(킬로달톤)Da는 달톤이라 부르며 원자의 질량을 나타내는 단위다. 탄소원자 질량을 12로 나눈 값을 1Da로 정의한다. k는 1000을 뜻한다. X선 결정학은 결정을 강한 X선으로 회절시킨 뒤 그 패턴을 역으로 계산해 구조 정보를 얻는다. 이 방법의 경우 분자 크기에는 제한이 ...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등급을 매기듯이 지진파의 최대 진폭을 같은 거리에서 측정한 것처럼 비교할 수 있는 단위를 개발한 것이다. 지진이 발생한 곳(진앙)으로부터 100km 거리에서 우드-앤더슨 지진계에 측정된 지진파의 최대 진폭의 상용대수(상용로그) 값을 기준으로 삼았다. 우드-앤더슨 지진계는 지반의 움직임을 약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