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머지"(으)로 총 2,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사기꾼에게 한 번 속지, 두 번 속나?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다만, 복잡한 수식들로 빼곡히 채워졌던 해밀턴의 1964년 포괄 적합도 논문을 너무 의식한 나머지, 트리버스는 상호성에 대한 수리 유전학 모델을 굳이 세워서 자기 논문에 집어넣었다. 이 수식 모델은 “오류로 뒤덮였다”고 그는 나중에 자백(?)했다.다음으로 트리버스는 비친족간에 도움을 주고 ... ...
- 집중하는 시간이 행복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생각해요.편미분★ 미분의 한 종류로, 변수가 많은 함수에서 특정 변수를 제외한 나머지 변수를 상수로 보는 미분 방법.언제부터 수학을 좋아하게 됐나요?지금은 수학을 무척 좋아하지만 학창 시절에는 학원 가기 싫어서 어머니와 다툰 적이 있어요. 학원이나 과외의 도움을 아예 받지 않은 건 ... ...
- [소프트웨어] 평범한 듯 특별한 SW 수업수학동아 l2017년 02호
- 게임의 시작을 알리자 학생들은 익숙하다는 듯이 따라 불렀다. 대결하는 두 학생을 뺀 나머지 학생들은 두 손으로 책상을 두들기며 긴장감을 조성했다. 윤 교사가 “5!” 하고 외치며 두 학생의 점 카드 위에 각각 1,0,1을 올려놓았다. 한 학생이 재빠르게 가운데 카드만 빈 면으로 뒤집더니 점 다섯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1/3 vs 1/2 공주의 선택은?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원래 이 문제는 동전이 앞면이 나오면 공주를 ‘월요일 하루’만 깨우는 실험입니다. 저는 동전이 앞면이 나오면 공주를 ‘화요일 하루’만 깨우 ... 앞면이 나왔을 때 공주를 깨우는 요일을 임의로 고른다는 것 외에 ‘실험 월/화’의 나머지 조건은 ‘실험 월’, ‘실험 화’와 똑같습니다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냉동이 중요해. 피를 비롯해 수분 한 방울 없이 뇌를 냉동 처리한 다음……”“됐어. 나머지는 내가 읽을게.”“네가 사랑하는 게 기준이의 몸이야? 정신 아니야?”그렇게 틀린 말은 아니었습니다. 그 각지고 나약한 몸을 제가 사랑하긴 했어도, 사실 오빠와 대화만 할 수 있다면 포기할 수 있을 ... ...
- [Origin] 평범한 발상, 비범한 과학자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어린아이가 할 수 있는 일은 별로 없었다.13살 때, 어느 날 트리버스는 너무나 심심한 나머지 외교관이었던 아버지의 책장에서 ‘미분학’이라고 쓰인책을 꺼냈다. 두 달 만에 다 읽었다. ‘적분학’이라고 쓰인 책도 또 두 달 만에 뗐다. 트리버스는 수학이 진정한 예측력과 분석력을 지님을 깨닫고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에르되시-버어 추측을 해결하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훨씬 큰 수의 다른 꼭짓점과 선으로 이어져 있을 수 있거든요. 예를 들어 한 꼭짓점이 나머지 n -1개 꼭짓점과 연결된 선이 n -1개인 그래프를 생각하면, 가운데 있는 점은 무려 n-1개의 다른 꼭짓점과 연결돼 있습니다. 하지만 그 점을 1번 꼭짓점으로 정하면 이 그래프는 앞사람 d명 이하와 악수한 ...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것이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은 중력에 대한 이론으로, 자연계에 존재하는 나머지 세 가지힘(강력, 약력, 전자기력)을 기술하는 양자이론과 충돌한다. 그러므로 일반상대성이론은 양자역학의 효과가 미치지 않는 플랑크 시간 이후에만 유효하다. 다시 말해, 상대성이론에서 나온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SSG와의 첫 대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굴러다니는 셈이지요. 그래서 공전 기간의 절반인 42년 동안은 북극만 태양빛을 받고, 나머지 42년 동안은 남극만 계속 태양빛을 받게 돼요. 천왕성의 위성들도 공전 궤도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천왕성 주변을 공전한답니다.2011년 프랑스 코트다쥐르대 알렉산드로 모비델리 교수 연구팀은 당시 프랑스 ... ...
- 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만들 만큼 진보한 생명체가 있다는 생각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이는 관측에 너무 집중한 나머지 잘못 만들어낸 허상이었다.사진의 등장은 이런 문제를 말끔히 해결해줬고 천문학을 객관적인 과학으로 만들었다. 망원경으로 본 모습을 그대로 기록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심지어 장시간 노출을 이용해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