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반
기본
토대
근본
근거
터전
밑바탕
d라이브러리
"
기초
"(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Part 2. 100년 日
기초
과학 경쟁력의 상징[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 ...
[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지원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Part 2. 100년 日
기초
과학 경쟁력의 상징[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그로텐디크는 수학 교과서에 나오는 진부한 문제에 불만이 많았다. 특히 현실에
기초
한 길이나 넓이, 부피 같은 개념을 제대로 정의하지 않았다는 게 가장 큰 불만이었다. 그는 ‘측도 이론’에 흥미를 느꼈는데, 이 이론은 수십 년 전에 ‘르베그측도와 적분 이론’이라는 이름으로 완성돼 있었다. ... ...
Part 2. 100년 日
기초
과학 경쟁력의 상징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Part 2. 100년 日
기초
과학 경쟁력의 상징[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 ...
Part 2. 현대 수학의 보물, 그로텐디크의 노트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모릅니다. 이 노트의 내용은 하나의 명제를 증명하는 게 아닙니다. 수학 전반에 걸쳐
기초
적인 개념부터 다루고 있습니다. 그로텐디크의 노트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성취는 무엇인가요?마랭 학문적인 성취도 위대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그로텐디크의 생각하는 방식을 엿볼 수 있다는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우수한 업적이 누적된, 소위 한 분야의 ‘대가’인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 염한웅
기초
과학 연구원(IBS)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장(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은 “노벨상은 업적이 나오고 평균 15년 정도 지난 뒤에 수여한다”며 “어떤 연구가 원숙한 뒤에야 그 연구 아이디어의 ... ...
[Career] 에너지 정책의 충분조건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느끼지 않는 제품을 생산하는 일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허 교수팀은 이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소비자가 어느 수준까지 불편함을 감수할 수 있는지, 기술에 대한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지 등 소비자 반응을 확인하고 분석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개발도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김진수
기초
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 연구팀은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미국 오리건보건과학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캐스9(CRSPRCas9)’으로 인간 배아에서 심장 질환을 야기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교정하는 데 성공했다. 이 내용은 올해 8월 2일 과학학술지 ...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gatekeeper)’ 역할을 하는 셈이다. 장기에 따라 모세혈관의 형태와 기능은 다르다. 고규영
기초
과학연구원(IBS) 혈관연구단장(KAIST 의과학센터 교수)은 “모세혈관을 연구하면 장기에서 벌어지는 생체 현상을 더욱 세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며 “건강한 사람과 환자의 모세혈관을 비교해 새로운 치료 ... ...
[포토 뉴스] 암흑물질 찾는 제논1T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우주의 23%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암흑물질을 찾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초
과학연구원(IBS) 지하실험연구단이 2019년까지 강원도 정선의 지하 1100m 깊이에 우주입자 연구 시설을 구축하고, 암흑물질을 탐색하기 위한 ‘코사인(COSINE)’ 실험을 진행할 계획이다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