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초"(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인간들이 이토록 섬세한 도구를 가질 자격이 없다고 생각한다.” 군사 공학의 기초를 쌓다레오나르도는 평화주의자였지만(심지어 동물의 고통을 생각해 평생 채식만 했다), 그런 그도 현실과 동떨어져 살 수는 없었다. 당시 이탈리아는 내분이 일어나고 프랑스와도 전쟁 중이었다. 이런 ... ...
- Part 1. 1998~2018, 해시태그로 본 20년의 기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포함됐다. 2008년 4월 11일 ISS에 도착한 이 박사는 초파리 유전자 실험, 추적 망원경, 기초과학실험 등 21종의 과학실험을 수행하며 11일간 ISS에 머물렀다. 가장 최근에는 2017년 12월 ‘익스피디션 54’가 ISS에 올라갔다. 2018년에는 ‘익스피디션 59’까지 계획돼 있다. #협력 ISS가 인류 최초의 ... ...
-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때가 많았다”며 “대학에 진학해보니 고등학교 때 배운 기초가 아주 중요하고, 기초가 탄탄해야 새로운 내용을 이해하기 쉽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오 씨는 연구가 좋아서 KAIST에 진학했다. 서울대와 KAIST 중 어느 대학으로 진학할지 한차례 고민했지만, 학부생도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기술은 대표적인 융복합 연구 분야다. 인간과 동물의 유전적 특징을 자세하게 밝혀내는 기초과학 연구에서 시작해 생명공학, 의료공학 등 공학 분야와 두루 협력해야 실현이 가능하다. 대학과 병원, 산업계의 협력이 필수다. 인공장기 기술은 향후 사회적으로나 산업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 ...
- [인터뷰]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팀장 김동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연습을 하면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한국과학영재학교에서는 1학년 때 연구 기초능력을 키우고, 2학년 때 소그룹 연구 활동을 거쳐, 3학년이 되면 개별적으로 혹은 KAIST 고등학생 연구 프로그램을 통해 졸업연구를 수행하고 졸업논문도 작성한다. 고등학생이면서도 한 명의 과학자로 연구를 ... ...
- [필즈상 미리보기] 필즈상 0순위, 어린 나이가 변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연구원은 “퍼펙토이드의 도입으로 시작된 숄체 교수의 연구로 인해 p진수 해석기하학의 기초가 다시 세워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만 24살에 최고 대우 받으며 교수 시작숄체 교수는 중고생 시절부터 수학에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국제수학올림피아드를 4년 연속으로 나가 금메달 3개와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8화] 코딩이란 무엇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햄스터 로봇인 ‘코코’와 여동생인 ‘핑코’의 이야기를 따라가며 자연스럽게 코딩의 기초 개념을 익힐 수 있지요. 코딩펫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 개발 과제 선정작으로, 국내의 코딩 교육 전문가들이 3년 동안 연구해 만든 제품이랍니다. 코딩펫에는 센서가 달려 있어서 검은색, 초록색,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바뀌지 않아요. 또 없어지거나 새로 생겨나지도 않지요. 그의 이론은 현대 화학의 기초가 됐답니다. 하지만 이후 과학이 발전하면서 돌턴의 원자설도 수정돼야 한다는 것이 밝혀졌어요. 우선 원자는 더 작은 입자인 양성자, 전자, 중성자로 쪼갤 수 있어요. 또 같은 원자라도 질량이 다를 수 있고, ... ...
- Part 5. 미래 우주여행은 엘리베이터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있나요?가로, 세로 10cm, 길이 20cm인 초소형 위성은 고도 400km에서 우주 엘리베이터에 대한 기초실험을 수행하고 있어요. 두 대의 위성은 100m 정도의 거리를 두고 낚싯줄과 같은 특수 케이블로 연결돼 있답니다. 고도 400km 부근에는 공기가 아주 희박해요. 이 공기의 저항에 케이블이 어떻게 흔들리는지, ... ...
-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