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립"(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포 15개면 잡아낸다 0.1ng의 과학, DNA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수록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완료했다. 임시근고려대에서 미생물학을 전공했으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법유전자과에서 22년간 근무했다. 현재 성균관대 과학수사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법과학, 법유전학 및 DNA 감식과 관련된 교육과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 ...
-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건 세포 단위에선 이미 논문으로 증명된 사실입니다. 한 예로 데이비드 스트론섹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IH) 연구원팀의 실험을 들 수 있는데요. 액체 질소에 1일부터 5년 6개월까지 냉동 기간이 다른 백혈구 311개를 비교한 결과, 해동했을 때 정상 기능으로 돌아온 백혈구의 비율은 냉동 기간에 관계 ... ...
-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화석으로 몽골은 일본과 데이노케이루스 전신 골격 복제품을 만들어 올해 7월 도쿄 국립과학박물관 공룡엑스포에서 공개했다. 이때 필자가 안타까웠던 것은 데이노케이루스 골격 복제품을 한국에서 처음 선보이지 못했다는 사실보다는 복원의 완성도였다. 화석은 보존 과정에서 짓눌려 변형되거나 ... ...
- 돼지가 인간 췌장 가진 쥐 출산? 불붙은 키메라 배아 연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배아 연구는 기술적인 문제보다는 윤리적인 문제와 법적 규제로 제한돼왔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키메라 배아 연구가 늘면서 동물복지 등 윤리적 논란이 계속 발생하자 2015년 9월 “인간의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다른 척추동물의 낭배형성(gastrulation·내배엽, 중배엽, 외배엽이 형성되는 단계) 이전 ... ...
- 조상의 지혜로 만든 바다의 보물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강조했답니다. ┼인터뷰 “모든 생물은 저마다의 용도가 있어요”_김병직(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활용과 환경연구관) Q 전통지식을 모으는 과정이 궁금해요. 보통 3~4명이 함께 시골 마을에 찾아갑니다. 어르신들을 만나서 얘기를 나누며 어르신들이 갖고 계신 전통지식을 여쭤보죠. 이 작업이 ...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연대 측정의 혁명 가속기 질량 분광분석장치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연구자들은 가속기에 주목했습니다. 1978년 7월 리처드 뮬러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연구원팀이 사이클로트론(원형가속기·Cyclotron)을 기반으로 탄소의 방사성동위원소의 양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한 페이지 분량의 글을 실었기 때문입니다. doi: 10.1126 ... ...
- 해양 생물의 깜짝 변신! 바다 보물도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유용자원활용과 환경연구관), 차형준(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백진욱(국립해양생물자원관 분류연구실 선임연구원)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해양 생물의 깜짝 변신! 바다 보물도감Part1. 조상의 지혜로 만든 바다의 보물은?Part2. 몸속으로 들어간 바다의 보물Part3. 지구 ... ...
- [식물 속 동물찾기] 문지르면 고린내 주의! 족제비싸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5월~6월이 되면 길가 곳곳에서 어두운 자주색 꽃이 자잘하게 달린 나무 ‘족제비싸리’를 볼 수 있어요. 꽃이 이루는 꽃차례가 족제비의 꼬리를 닮았다거나, 꽃의 색깔이 족제비 색깔과 비슷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는 이야기 등이 전해지지요. 그런데 여러 유래 중에서도 냄새야말로 족제비를 ... ...
- [GO! GO! 고고학자]유물의 나이를 알아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발견됐다. 사리함 표면에 적힌 한자를 해석해 왕흥사가 지어진 연도를 알게 됐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처럼 모든 유물에 만들어진 연대가 적혀있다면 좋겠지만, 이런 행운은 아주 드물어요. 보통 고고학자들은 여러 방법을 써서 유물의 연대를 알아내요. 예를 들어, ... ...
- [과학뉴스] 철새의 야간 이동, 단백질 변이 덕분?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이동할 수 있는 이유가 CRY4 단백질 변이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9월 4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야간에 이동하는 철새와 유사한 단백질을 가진 비둘기의 CRY4 단백질의 결정화 구조를 분석했다.그 결과 특정 부위에 유전적 변이가 생긴 일부 철새의 CRY4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