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립"(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지구사랑탐사대, 백두대간에서 생물의 흔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이동해 수련, 노랑어리연꽃 등 여러 수생식물을 관찰했지요. 숙소로 돌아오자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남종우 연구원이 텐트 중간에 등을 켜놓고 대원들을 맞이했어요. 불빛을 보고 몰려온 곤충들이 텐트를 빼곡히 채웠지요. 이날 텐트엔 알락굴벌레나방, 흰무늬왕불나방, 고동털개미 등 다양한 ... ...
- 해충, 꼼작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죽지도 않아!Part4. 벌레로 벌레를 막아라!Part5. 해충 잡는 별별 과학! 도움정종국(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연구사), 변봉규(한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과 교수), 김왕규(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연구교수), 김동석(콩돌 스페이스 로보틱스 CTO ... ...
- 비자림로 확장 논쟁 2 삼나무 토양 산성화?! VS 생명의 보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드는 햇빛을 가려 오히려 제주 자생식물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다고 말해요. 이에 대해 국립산림과학원 김용석 연구사는 “토양의 산성화는 자연적 요인보다는 산성비 같은 인위적인 요인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며, “자연적인 토양의 산성화는 지형, 기후, 본래의 토양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한 ... ...
- [식물 속 동물 찾기] 까치가 좋아하는 음식은? 까치밥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옛날 우리 조상들은 가을철 감나무를 수확할 때 꼭대기에 달린 감은 따지 않았어요. 겨우내 먹이를 찾아 헤맬 새들을 위해 남겨두었지요. 이처럼 ... 달리, 까치밥나무는 잎 뒷면 전체에 짧은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답니다. 감수선은미(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석사후연구원 ... ...
- 매미나방, 도시를 습격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대발생*하면서 유독 우리 눈에 자주 띄게 됐어요. 매미나방은 왜 갑자기 늘어났을까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의 정종국 연구사는 “지난겨울 기온이 높아 나방의 알이 얼어 죽지 않고 많이 살아남았을 가능성이 있다”라고 답했어요. 이어 “봄철에 비가 내리면 유충이 곰팡이나 ... ...
- 개발VS보존, 비자림로의 운명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보고! 도움김순애(비자림로를 지키기 위해 뭐라도 하려는 시민모임 녹색당원), 김용석(국립산림과학원 연구사), 김익기(한양대학교 교통물류공학과 교수), 배윤혁(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생명다양성재단 연구원), 안재하(생명다양성재단 연구원), 이강원(한국사회갈등해소연구소장 ... ...
- [지구사랑탐사대] 보고, 듣고, 맛보는 특산식물 현장교육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지난 6월 22일, 20여 명의 지사탐 대원들은 경기도 남양주시 천마산군립공원에 모였어요.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정금선 박사님과 함께 천마산의 특산식물을 찾아보기 위해서였죠. 이날 지사탐 대원들은 어떤 식물을 발견했을까요? “자, 여기서 잠깐 멈춰 볼까요? 이 주변에 특산식물이 있는데 ... ...
- [식물 속 동물 찾기] 잎이 박쥐 날개를 닮은 박쥐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박쥐는 하늘을 나는 유일한 포유동물이에요. 과거 인간처럼 다섯 손가락을 지녔던 박쥐는 손가락 뼈가 점점 길어지며 손가락 사이의 피부가 늘어나 지 ... 사진길희영(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박사후연구원) 감수선은미(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석사후연구원 ... ...
- [핫이슈] 24시간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바이오블리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총 300명이 탐사에 참여했지요. 이유미 원장은 “바이오블리츠가 10주년을 맞는 올해는 국립수목원이 개원 20주년을 맞은 해이기도 하다”며 “생물다양성의 보고, 광릉숲에서 바이오블리츠를 개최하게 된 것은 매우 큰 의미”라고 말했답니다. 광릉슾에서 만난 다양한 생물들바이오블리츠 ... ...
- 기생충이 사람을 고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오히려 면역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내용의 ‘위생가설’을 주장했어요. 실제로 미국 국립 알레르기 및 전염병 연구소는 1973년부터 1992년까지 남태평양의 마우케섬 주민들의 기생충 감염률을 30%에서 5%로 떨어뜨렸는데, 이때 알레르기 질환 환자는 3%에서 15%까지 늘었지요. 기생충에 감염되면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