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지
내륙
나라안
국내컴퓨터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내국
d라이브러리
"
국내
"(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체험실] 3가지 규칙으로 알록달록 꾸미는 아홉 색깔 큐브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 ‘nrich.maths.org’에 소개돼 있으며, 최근에는
국내
수학체험전에서도 종종 만나볼 수 있다. 3×3×3 큐브의 6면에 9가지 색이 모두 나타나게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1×1×1 큐브로 3×3×3 큐브를 채우려면 3³=27개가 필요하다. 즉 서로 다른 9가지 색으로 ... ...
[검시관의 사건노트] 한파가 죽음에 미치는 영향...저체온사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있다. 중독사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으며, 복어의 독인 테트로도톡신과 관련된
국내
변사사건의 특성 등에 대한 논문들을 집필했다. innam1965@police.go.kr (굿바이! 또 만나요! 검시관의 사건 노트’는 이번 호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지금까지 사랑해주신 독자 여러분에게 감사드립니다. ... ...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하는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선정된 암호보다 성능이 좋다는 걸 밝히면 후양자 암호로 채택될 수 있다고 하니 어쩌면
국내
연구팀이 만든 암호가 선정될 수도 있어. 양자컴퓨터가 개발되기 전에 미리 새로운 암호 체계를 컴퓨터에 넣어둬야겠지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빙하코어 속 물질 양은 100만t당 1g중국과 몽골에서 워밍업을 마친
국내
연구팀은 남극장보고과학기지가 건립될 즈음인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남극 빙하코어 시추에 뛰어들었다. 2013년에는 이탈리아 연구팀과 함께, 그리고 2014년에는 극지연구소 단독 시추에 성공했다. 당시 21 ... ...
굿바이 2019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019년
국내
외 과학계를 아우르는 키워드는 '최초'와 '논란'이었다. 절대 관측할 수 없을 것 같던 블랙홀을 처음으로 관측했고, 인간이 만든 달 탐사선이 마침내 달의 뒷면에 착륙했다. 우리의 삶을 획기적으로 바꿀 양자컴퓨터용 칩은 양자우월성(양자우위)을 처음으로 달성했다. '디자이너 베이비'는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019년
국내
외 과학계를 아우르는 키워드는 '최초'와 '논란'이었다. 절대 관측할 수 없을 것 같던 블랙홀을 처음으로 관측했고, 인간이 만든 달 탐사선이 마침내 달의 뒷면에 착륙했다. 우리의 삶을 획기적으로 바꿀 양자컴퓨터용 칩은 양자우월성(양자우위)을 처음으로 달성했다. '디자이너 베이비'는 ... ...
‘알라딘’의 파란 피부 지니는 청색증 환자?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FDA)은 24개월 미만 유아에게는 벤조카인이 함유된 약제 처방을 금지했다.
국내
에서도 청색증을 동반한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이 발생한 사례가 있다. 2007년 ‘대한내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35세 여성이 미용실에서 헤나 머리염색 시술 후 갑작스럽게 호흡 곤란과 청색증이 나타났고 경기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 조립완료, 시행착오 1000번 혹독한 지상 검증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이 과정에서 한국 연구팀은 발사체 소재나 보호 목적으로 사용된 화학물질들을
국내
화학물질로 대체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러시아의 화학물질은 한국으로 들여오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대체한 화학물질 중 일부는 실제로 한국에서 발사체 시험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기체에 사용되기도 했다 ... ...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IT대학 전자정보공학부 교수이며 과학소설가, 한국문인협회 회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국내
최초 컴퓨터통신망 연재 과학소설 ‘아틀란티스 광시곡’을 비롯해 다수의 과학소설 및 과학칼럼을 출판하고 연재했다. sslee@ssu.ac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수km 팔 때마다 새로운 지렁이를 발견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번 지렁이 지도에는
국내
지렁이 분포도 빠져 있다. 최 박사는 “지렁이는 토지를 비옥하게 할 뿐 아니라 무엇이든 먹어 치워 퇴비로 만들기 때문에 쓰레기 처리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며 “지속적으로 지렁이 연구가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