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내"(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발표한 ‘2018년 동물실험 및 실험동물 사용 실태 보고’를 보면 2018년 한 해 국내에서 사용된 실험동물은 372만7163마리로 조사됐습니다. 그중 저를 포함한 설치류가 무려 84.1%(313만3927마리)를 차지했죠. 설치류 안에서도 우리 같은 쥐가 73.5%(273만9198마리)로 가장 많고, 래트, 기니피그, 햄스터가 그 뒤를 ...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로봇 공학자들은 ‘멘붕’에 빠졌다. 선진국들은 앞다퉈 휴머노이드 연구에 착수했다. 국내에도 오 교수가 연구를 시작했다. 오 교수팀은 2004년 아시모와 견줄 수 있는 수준의 성능을 갖춘 휴보를 개발했다. 2~3명의 연구자가 3년이 채 되지 않는 짧은 기간에 이룬 쾌거였다. 이후 연구팀은 휴보를 ... ...
- 뇌도 은행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조직이 파괴되는 현상을 말한다. * 한국뇌은행 : 2014년 처음 설립됐다. 한국뇌은행은 국내병원과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한국뇌은행네트워크)하여 치매, 파킨슨병, 발달 장애 등의 원인과 치료를 연구하는데 필요한 조직, 혈액, 뇌척수액 등을 제공하고 있다. * 뇌간 : 호흡, 순환, 소화 등 생명 유지를 ... ...
- 장기미제사건 푼 DNA 분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2016년 경기북부경찰청은 모기가 빨아 먹은 피에서 채취한 DNA를 분석하는 수사기법을 국내 최초로 도입했어요. 이는 현재도 사용되고 있지요. 만일 폐쇄된 곳에 피를 빤 모기가 있다면 용의자를 추적할 때 도움이 될 수 있어요. 흡혈 곤충인 모기는 피를 빨면 몸이 무거워져 멀리 날아갈 수 없기 ... ...
- 게임이용장애란 질병이 생겼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찬성과 반대 의견이 팽팽 WHO의 결정에 모두가 동의하는 건 아닙니다. 5월 29일, 국내에서는 게임학계와 게임산업계를 중심으로 ‘게임질병코드 도입 반대를 위한 공동대책 위원회(이하 공대위)’가 만들어졌습니다. 공대위는 WHO의 결정을 한국이 받아들이는 것에 반대했습니다. 위정현 위원장은 ... ...
- [통합과학 교과서] 가 탐정 사무소를 찾은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Ok! 따끔한 주삿바늘은 어른, 아이 구분 없이 공포의 대상인 경우가 많아요. 그런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주삿바늘에 대한 거부감을 없앨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어요. 지난 8월 1일, 숭실대학교 배원규 교수와 울산과학기술원 정훈의 교수 공동 연구팀은 반창고처럼 붙이기만 해도 몸속으로 액체 ... ...
- 비자림로 확장 논쟁 2 삼나무 토양 산성화?! VS 생명의 보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으로, 총 7종이 서식하고 있다고 발표했어요.특별 생태조사에 참여한 배윤혁 연구원은 “국내 중 제주에서만 유일하게 발견되는 두점박이사슴벌레는 불빛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종인데, 도로를 만들고 가로등을 설치하면 많은 개체가 불빛에 날아들어 차에 깔려 죽게 될 것”이라며 삼나무 ... ...
- [과학뉴스] 국내 연구진, 막대나선은하의 형성 비밀을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회오리 모양의 은하를 ‘나선은하’라고 해요. 나선은하는 형태에 따라 다시 정상나선은하와 막대나선은하로 나눌 수 있지요. 동그란 중심부에서 나선 모양의 팔이 직접 뻗어 나오면 ‘정상나선은하’, 막대 모양의 기다란 구조에서 회오리 형태의 팔이 나가면 ‘막대나선은하’라고 한답니다. ...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빙하코어 속 물질 양은 100만t당 1g중국과 몽골에서 워밍업을 마친 국내 연구팀은 남극장보고과학기지가 건립될 즈음인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남극 빙하코어 시추에 뛰어들었다. 2013년에는 이탈리아 연구팀과 함께, 그리고 2014년에는 극지연구소 단독 시추에 성공했다. 당시 21 ... ...
- 굿바이 2019과학동아 l2019년 12호
- 019년 국내외 과학계를 아우르는 키워드는 '최초'와 '논란'이었다. 절대 관측할 수 없을 것 같던 블랙홀을 처음으로 관측했고, 인간이 만든 달 탐사선이 마침내 달의 뒷면에 착륙했다. 우리의 삶을 획기적으로 바꿀 양자컴퓨터용 칩은 양자우월성(양자우위)을 처음으로 달성했다. '디자이너 베이비'는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