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정하기"(으)로 총 3,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실수의 한 구간, 예컨대 0 이상 1 미만인 실수는 무한히 많다. 문제는 실수를 셀 수 있느냐인데, 아무도 실수가 무엇인지 정의를 내리지 못했다. 자연수의 집합은 ‘1부터 시작해서 1씩 커지는 수로 이뤄져 있다’고 정의하지만, 0 바로 다음에 오는 실수가 무엇인지는 도무지 알 수 없었다. 실수의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4색 정리의 응용판! 베크너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0호
- 4색 정리는 컴퓨터로 해결한 대표적인 수학 문제입니다. 컴퓨터의 손을 빌린 만큼 증명 과정도 너무 길어서 다 읽고 확인한 사람이 없지요. 결국 검증도 컴퓨터의 도움을 받고 말았습니다. 4색 정리의 응용문제 역시 2016년 컴퓨터의 도움으로 해결했는데요, 최근 덴마크 수학자가 기발한 아이디어 ...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1976년 영국의 동물행동학자 리처드 도킨스는 일생의 역작인 ‘이기적 유전자’를 발표했다. 비판자들은 이 제목이 극단적인 유전자 결정론을 내포한다고 분노했다. 정작 도킨스는 유전자가 정말로 이기적인 동기를 지닌다고 주장한 적은 한 번도 없었다. 1973년 영국에서 보수당의 노동 정책에 ... ...
- [수학뉴스] 생물다양성 위해 내부 경쟁은 필수?!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실험실에서는 비슷한 자원으로 여럿이 경쟁하면 가장 센 종이 살아남아요. 그런데 자연에서는 꼭 그렇지 않아요. 힘이 약한 종도 힘이 센 종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지요. 최근 장봉수 울산과학기술원(UNIST) 수리학과 교수팀이 이런 생태계 현상을 잘 설명하는 수학 방정식을 만들었어요. 교수팀은 ... ...
- Part 6. 무한은 칸토어가 만든 낙원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인류는 마침내 무한을 수학적으로 정의했고, 유한집합의 성질이 무한집합에서는 통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무한이 무엇인지 확실히 모르면서 무한급수와 미적분을 연구했던 수학자들과 달리 지금은 고등학교부터 무한을 배운다. 하지만 무한은 아직 미지의 세계다. 지금도 인류의 상 ... ...
- Part 2. 오빠에게서 방을 사수하라!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이번엔 어제 얘기예요. 가족이 이사를 하면서 오빠와 제 방을 정해야 했죠. 그런데 오빠가 큰 방과 작은 방을 보더니 당연하다는 듯 큰 방에 들어가서 눌러앉는 거예요. 1년 먼저 태어난 게 벼슬인가. 용돈도 많이 받으면서 큰 방까지 가지려 하다니! 저도 오빠에게 무조건 작은 방에 가라고 하는 게 ... ...
- 나도 모르게 왕따 가해자?! 왕따가 생기는 이유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안데르센 동화 ‘미운 오리 새끼’를 보면 단지 생김새가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아기 오리들은 아기 백조를 괴롭힙니다. 우리 주위에서도 이런 일을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외모가 조금 특이하거나 취향이 다르다고 해서, 마음에 들지 않은 행동을 했다고 해서 무리에서 따돌리는 경우가 종종 있 ...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 ‘쿠쿠쿵’ 지진으로 5층 아파트가 주저앉았다. 무너진 잔해에서 재빨리 생존자를 찾아야 하는 상황. 무선 조종 로봇을 급히 투입했지만 좁은 틈과 높은 장애물에 가로막혔다. 첨단 휴머노이드 로봇도 출동하자마자 무거운 건물 잔해에 깔려버렸다. 실제 재난 현장을 가정하면 제아무리 첨단 로 ... ...
-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눈으로 볼 수 없다면 수학적으로 우주의 모양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여기에 쓰이는 수학은 위상수학이다. 위상수학은 물체의 모양이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 성질을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다. 쉽게 말해, 구멍의 개수에 따라 물체를 분류한다. 구멍의 개수가 같으면 같은 물체로 본다. 예를 들어, 구 ... ...
- [Issue] 경주 지진 벌써 1년, 석가탑과 첨성대 큰 지진에 견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경주 지진이 일어난 뒤 이곳에 있던 문화재들은 얼마나 영향을 받았을까. 조사해보니 첨성대 상부의 정(井)자형 석재의 모서리는 벌어졌고, 불국사에 있는 다보탑의 난간석은 떨어져 있었다. 전통 건축물의 지붕이나 담의 기와가 떨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다행히도 예상보다 큰 피해는 없었다. 특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