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정하기"(으)로 총 3,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폭염, 막을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가장 큰 원인인 지구 온난화가 멈추지 않는이상 폭염은 계속될 거예요. 앞으로 폭염은 얼마나 더 심해질까요? 또 폭염을 막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멈추지 않는 지구 온난화, 폭염은 얼마나 강해질까?세계 기상을 연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제기구인 IPCC는 최신 보고서를 통해 지구 평균기 ... ...
- Part 2. 얕보면 큰코다친다! 센 종이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종이로 건물을 짓는다니, 정말 놀라워! 하지만 종이 건물만으로는 아직 종이가 강하다는 사실을 믿지 못하겠어. 조금만 힘을 주면 이렇게 찢어져 버리는 걸?종이는 왜 잘 찢어질까?◀ 종이를 이루는 셀룰로오스의 모습.종이는 나무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섬유질인 ‘셀룰로오스’를 이용해 만들 ... ...
- Part 5. [미션 임파서블] 태양열을 견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흠…. 파커 솔라 프로브가 중요한 임무를 맡았군. 하지만 내 비밀을 알아내려면 일단 나에게 가까이 와야 할 걸! 나는 엄청 뜨겁다고~! 도대체 어떻게 나에게 온다는 거야? ◀ 탐사선의 열 보호막(위)과 태양 전지판 냉각 시스템(아래)을 조립하는 모습.7번 금성과 만나면서 태양에 더 가까이!파커 솔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름 모름. 여성. 32.1세. 행복과 약간의 공포(fear).” 10월 말,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인지로보틱스연구부의 한 실험실. 얼굴 인식 인공지능(AI) ‘딥미러(deep mirror)’가 처음 만난 기자의 얼굴을 분석한 결과다. 얼굴 정보만으로 용케 여성임을 알아봤다. 활짝 웃으면서도 내심 긴장했던 기자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인간의 심장은 중앙에서 살짝 왼쪽으로 치우쳐 있습니다. 위와 비장(지라) 역시 왼쪽에 있고, 오른쪽에는 간이 위치합니다. 폐의 경우도 좌우 대칭으로 보이지만 사실 왼쪽 폐는 두 개의 폐엽으로, 오른쪽은 세 개의 폐엽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대장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구부러져 있죠. 그런데 17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편집자주 - 이번 화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그간 애독해 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돌이켜 보면, 지옥문을 열어젖힌 책임은 전적으로 내게 있었다. 공중파 뉴스에 나갈 인터뷰를 그렇게까지 호들갑스럽게 해버린 건 그 누구도 아닌 내 의지에 따른 일이었으니까. 물론 남부 지방의 갑 ... ...
- [SW 기업 탐방] 수학 원리로 듣는 스피커, 리슨~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아이디어가 있는 제작자가 제품을 만들 자금을 모으는 크라우드 펀딩은 이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투자 방식이다. 대중은 제작자의 제품 가치를 보고 투자를 결정하는데, 대부분 앞으로 만들 제품이기 때문에 투자자의 신뢰를 얻기 어렵다. 그래서 목표금액을 100% 채우기가 쉽지 않다. 그런데 최근 ... ...
- Part 2. 재료를 준비하라!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나는 푸드트럭계에서 인기가 많은 두 음식, 소고기와 새우를 함께 구워 팔기로 했어. 이름하야 ‘고기싸움에새우등터짐’! 듣기만 해도 소고기의 육즙과 새우의 오동통함이 느껴지지? 메뉴는 고기가 새우보다 많은 고기마니, 새우가 고기보다 많은 새우마니야. 이제 재료를 준비해보자. 음식 장사 ... ...
- [Origin] 착한 일을 하면 福을 받는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여럿이 공익을 위해 힘을 보탤 때처럼, 내가 도와준 상대가 장차 내 도움을 갚으리라고 기대할 수 없을 때조차 인간은 종종 착하게 행동한다. 보답을 바라지 않는 일방적인 선행은 어떻게 진화했을까. 어느 여름날, 한국전력으로부터 이런 편지를 받았다고 하자. “귀하의 도움이 세상을 바꿀 수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평면도형을 겹치지 않게 빈틈없이 이어 붙여서 평면 전체를 다 덮는 것을 ‘테셀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을 바둑판처럼 이어 붙이면 평면을 빈틈없이 가득 채울 수 있지요. 벌집처럼 정육각형을 이어 붙여도 됩니다. 테셀레이션은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는데요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