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트코인도 털린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환전소를 추적했는데, 총 33 종류의 외화(달러, 엔 등)로 바꿔주는 곳이다. 40개 중 9개가 해커 등에게 보안 관련 위협을 받았다. 18곳은 연구 기간 중에 공식적으로 폐업했다. 또 다른 13곳은 아무런 공지 없이 갑자기 문을 닫았다. 연구팀이 결과를 발표한 시점에 남아있는 환전소는 4곳뿐이었다. 폐업한 ... ...
- 그들은 어떻게 과학을 지배하고 있나과학동아 l2014년 01호
- 10월 짜깁기로 만든 엉터리 논문을 304개의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게재 신청해 본 결과 157개에서 승인이 났다”고 밝혔다. 학술지 일부는 게재료를 내라고 ‘장사’까지 시도했다고 한다.한글로 된 수준 높은 학술지 만들자 우리나라에서도 요즘 국내 학술지의 세계화에 대한 논의가 뜨겁다. ... ...
- 지구 반대편에 있는 가족의 뺨을 만지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것입니다.“아기는 잘 듣거나 보지 못해도 신기하게 엄마를 알아보지요. 미국 애플사가 개발한 아이팟 터치가 소비자의 ‘감성’을 건드려 성공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도 괜한 게 아닙니다. 촉각에는 숫자로만 설명하기 어려운 감정도 포함되는 것 같아요.”박연규 박사가 말했습니다. 과연 인공촉각 ... ...
- [만화뉴스] 수학자, 최고의 ‘신의 직업’으로 꼽혀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중 하나인 치과의사는 이번 조사에서 15위에 머물러 눈길을 끌었다. 2012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중고생을 대상으로 한 선호 직업 설문조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와 의사, 공무원이 각각 1~3위를 차지했다 ... ...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여행 0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어렵다. 그런데 0이 없었다면 0과 1로 이루어진 수로 연산하는 컴퓨터는 물론 스마트폰도 개발되지 못했을 것이다.2.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은 우주 어딘가에 있을지 모르는 특별한 존재를 예언했다. 바로 부피가 0이고 밀도가 무한대를 향해 수축하는 블랙홀이다. 그런데 0과 무한을 인정하지 ... ...
- 콜록콜록, 작지만 무시무시한 미세먼지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미세먼지 농도가 1㎥에서 10㎍씩 많아지면 기형아를 출산할 확률은 16%, 임신 4~9개월 사이의 사산할 확률은 13.8%까지 올라간다고 해~. 미세먼지,이렇게 대비하자!몸 속으로 직접 들어가 봤더니 생각보다 무서운 일들이 많이 일어나네…. 나도 조금 놀랐어. 내가 강한 아이라는 건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 ... ...
- 난파선 탐사, ‘거북이 로봇’에게 맡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로봇 ‘U-CAT(유캣)’을 개발했어요. 바다거북의 다리처럼 각각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네 개의 물갈퀴로 자유롭게 방향전환을 할 수 있는 똑똑한 로봇이지요. 프로펠러 추진기가 아닌 물갈퀴를 사용해서 해저에 쌓인 침전물을 건드리지 않고 조용히 움직일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에요. 바닷물의 ... ...
- 눈 VS 우박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못하고 가루처럼 내려요. 그런데 기온이 높고 포근한 날에는 습기가 많아 눈송이 몇 개가 엉겨 붙어서 함박눈이 펑펑 쏟아진답니다.눈이 내릴 때의 기온이 0℃보다 높으면 내리던 눈이 녹기도 해요. 그래서 눈과 비가 섞인 진눈깨비가 내리지요. 또 초겨울이나 이른 봄에는 빗방울이 갑자기 찬바람을 ... ...
- 선물 발송의 달인, ‘산타다 굴러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깜짝 놀랐다.그런데 깜빡하고 몇 개나 실었는지 숫자를 세지 않았다.“선물이 모두 몇 개인지 확인해 주실래요?”미션3 루돌프가 얼마나 빨라야 해?“자~, 이제 우리 최신형(?) ‘루돌프 썰매’가 얼마나 빨라졌는지 속도 테스트를 해야겠어요.”굴러스가 썰렁홈즈를 보고 말했다.“뭐해요? 전 세계 ... ...
- 까마귀의 ‘새대가리’ 속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되면 사람과 비슷한 뇌 신경세포 반응을 보인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연구팀은 먼저 두개의 그림 가운데 먼저 보여 준 그림과 같거나 다른 그림을 고르는 컴퓨터 게임을 통해 까마귀의 행동을 관찰했어요. 까마귀는 80%를 훌쩍 넘는 정답률을 보였지요. 이때 까마귀의 뇌를 관찰했더니 인지능력을 ... ...
이전6326336346356366376386396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