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공대카페]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세계 첫 도전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않는다. 공정 시스템을 따로 구축할 필요가 없고, 생산비용이 기존 LED 대비
1
0분의
1
수준이라는 장점도 있다. 이 교수는 “아직 상용화하기에는 효율이 낮지만, 높은 색 순도와 기술의 발전 속도를 고려하면 미래 디스플레이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 ...
Part
1
. 숫자로 본 극지 연구 30년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극지, 끝없는 프론티어Part
1
. 숫자로 본 극지 연구 30년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INFOGRAPHIC] 한 눈에 보는 극지 연구 인프라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미래다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비타민C보다
1
000배 이상 매우 높은 항산화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20
11
년 LG생활건강은 라말린을 활용해 ‘프로스틴’이라는 화장품을 출시하기도 했다. 라말린은 치매 치료제로도 개발되고 있다. 현재는 라말린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HDACs·Histone deacetylase ... ...
학종에서 좋은 평가 받는 동아리 활동 비법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학생들에게 가장 많이 언급되고 중요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고등학교
1
학년 때부터 자신이 어떤 분야에 관심이 있고, 어떤 동아리를 선택해서 활동하고 싶은지 생각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학교에 어떤 동아리가 있는지 선배 등을 통해 확인하고, 만약 자신이 희망하는 분야의 ... ...
Part 3. 빙하를 감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여러 가지 데이터를 관측하기 위해 어마어마한 장비들을 싣고 다니기 때문이지요.
1
초에
1
만 번의 진동을 만들어내는 초정밀 레이저를 쏴서 빙하의 높낮이를 계산할 수 있어요. 각종 레이더 장비로 빙하 표면부터 바닥까지 관측할 수도 있지요. 또 ●중력계와 ●자력계를 사용해 레이더로는 볼 수 ... ...
[시사과학 뉴스] 긴급 제천 화재 발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법이 생겼어요. 하지만 제천 스포츠센터는 법이 생기기 전인 20
11
년 지어져 참사를 막지 못했답니다. 불이 난 건물의 창문을 깨면 안된다? 가장 많은 희생자가 나온 곳은 2층 사우나예요. 대부분 불에 탄 흔적이 거의 없어 유독가스에 희생된 것으로 추정됐어요. 이를 두고 ... ...
[에디터 노트] 과학은 올림픽을 더 재미있게 만든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순간 초당
1
000장이 찍혔고, 20
1
2년 런던올림픽에는 양자 타이머가 도입돼
1
00만 분의
1
초까지 기록됐다. 그러니 2월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과학기술을 한번 관람해보자. 기록 외에도 관전 포인트가 많다. 초고속 카메라가 이상화 선수의 기록 단축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스켈레톤의 윤성빈 선수는 왜 ... ...
[과학뉴스] 중력장 변화로 지진 규모 확인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도착하기 전에 중력 변화가 지진계에 감지됐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20
1
7년
1
2월
1
일자에 발표했다. 지진이 일어나면 속도가 가장 빠른 지진파인 P파로 지진을 포착한다. 중력장이 미세하게 달라지는 현상이 P파보다 먼저 발생하지만, 그 신호를 측정하기가 지금까지는 매우 어려웠다 ... ...
[과학뉴스] 몸무게 3kg만 달라져도 생체분자 바뀐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몸무게가 늘거나 줄 때 몸이 어떻게 변하는지 분자 수준에서 밝힌 연구결과가 나왔다. 마이클 스나이더 미국 스탠퍼드대 유전학과 교수팀은 실험 ... 수 있다”며 “미래에 개인 맞춤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셀 시스템스’
1
월
1
7일자에 실렸다. doi:
1
0.
1
0
1
6/j.cels. ...
[과학뉴스] 피부 줄기세포로 근육 만들어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iPS) 세포를 근육 조직으로 분화시키는 데 성공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
월 9일자에 발표했다. 피부에서 실제로 수축과 이완을 할 수 있는 근육조직을 만든 건 이번이 처음이다. iPS세포는 피부세포와 같이 이미 분화가 끝난 체세포를 분화가 되기 이전으로 돌려놓은 세포를 말한다. 모든 ... ...
이전
629
630
631
632
633
634
635
636
6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