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집"(으)로 총 7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미투의 외침 나오는 이유? 성폭력 권하는 사회 2018.03.03
- 보고에 의하면 대학생들이 겪는 성폭력에서 약 85%에서 90%에 달하는 가해자가 친구나 옆집 사람 등의 면식이 있는 사람이었다 [2]. 유럽에서 이루어진 한 조사에 의하면 성폭력이 발생하는 공간은 공원, 쇼핑몰 같은 공공장소(34%) 다음이 집(33%)이었다 [3]. 가장 안전해야 할 친밀한 관계에서 가장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2018.01.02
- 식품이나 조직공학 등 다양한 연성물질(soft material) 분야에 응용될 것으로 내다봤다. TIP 집에 에스프레소머신이 없는 필자는 드립커피로 레이어드 라테 만들기에 도전해봤는데 세 번 만에 ‘어설프게’ 성공했다. 진하게 내렸다고 해도 에스프레소보다는 훨씬 옅기 때문에 층의 색 차이도 미미한 ... ...
- [지뇽뇽의 사회심리]당신은 꼰대입니까? 2017.11.17
- 다시 돌아가 그 일을 한다면 몇 번을 다시 해도 그 일은 어려울 것이다. 참고로 필자의 집에서는 한 어르신이 최근 대학 공부를 다시 시작하신 후 ‘공부가 정말 어려워’라고 고백하셨고 그 후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그 쉬운 공부를 왜 못하냐고 다그치는 일이 줄었다. ● “네 나이 때 나는 말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2017.11.14
- 필자는 “파란빛이 범죄율을 낮춘다는 건 처음 듣는 얘기”라고 답하며 말을 흐렸다. 집에 와서 검색해보니 정말 일본 나라현에서 “파란색이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다”며 2005년 파란빛 가로등을 도입했고 그 결과 범죄가 연간 3만2000여 건에서 2만1000여 건으로 크게 감소했다. 그리고 ... ...
- 맞고 자란 아이가 '사랑의 매' 더 신봉한다2017.10.28
- 학교에서나 집에서나 뭔가 실수를 저지르거나 잘못했을 때마다 맞았던 기억이 있다. 옆집에 살던 아이는 무엇을 잘못했는지는 모르겠지만 발가벗겨진 채로 문 앞에 서있기도 했다. 한 번은 중학교 자습시간에 뒤에 앉은 친구가 뭘 물어봐서 가르쳐 주고 있었는데 선생님이 다가오더니 다짜고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2017.09.12
- 부분을 없앨 수 있다. 이 경우 식물 게놈에 외부 유전자가 없고 자기 유전자만 편집된 개체이기 때문에 유전자재조합생명체(GMO)가 아니라는 말이다. 참고로 지난달 일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파란 국화의 경우 다를 식물 두 종(초롱꽃과 나비콩꽃)의 유전자가 들어간 GMO다. 연구자들은 이번 시도가 ... ...
- 반려동물이 정신질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이유2017.08.20
- 벗어나게 도와준다는 점, △동물을 돌보기 위해서라도 움직이게 되고 산책을 위해서 집 밖에 나가게 만들어준다는 점, △자신의 삶을 의미있게 만들어준다는 점 자살 시도로 인해 몸에 흉터가 있는 한 참가자는 “(사람들과 다르게) 동물들은 내 팔에 있는 흉터를 보지 않는다. 무슨 일이 있었는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2017.08.15
- 박사는 취미로 양봉을 하는데 하루는 꿀벌부채명나방(학명 Galleria mellonella)의 애벌레가 벌집을 갉아먹는 장면을 목격한다. 이 나방의 영어 이름 ‘왁스 모스(wax moth)’에서 짐작하듯 애벌레는 밀랍(beeswax)을 먹고 자란다. 베르토치니 박사는 애벌레를 잡아 플라스틱봉지에 넣었는데 다음날 보니 ... ...
- 오지랖 넓은 한국사회에서 자신을 되돌아 보는 방법2017.07.30
- 따라서 이런 집단과 주변의 압력으로부터 벗어나서 ‘혼자’ 양질의 시간을 갖는 것은 집단주의 사회의 개인에게는 특히나 더더욱 필요한 ‘자아찾기 겸 행복찾기’, 나아가 필요없는 쭉정이 같은 관계를 쳐내고 양질의 인간관계를 선별해나가기 위한 독립성 회복 활동이 아닐까? 일례로 나의 경우 ... ...
- 당신은 행복하게 돈 쓰는 방법을 아시나요?2017.07.15
- 반드시 당신의 행복을 장기적으로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돈을 쓰라고 하면 뭘 할까? 내 집 장만 등 인생의 불안 요소를 제거하는 것들을 제외하고 말이다. ※ 참고문헌 [2] Van Boven, L., & Gilovich, T. (2003). To do or to have? That is the ques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 1193-1202. [3] Zhang, J. W., Howell, R.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