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폐물
오물
잡동사니
찌꺼기
먼지
폐품
쓰래기
뉴스
"
쓰레기
"(으)로 총 656건 검색되었습니다.
석유화학시대 넘어 바이오화학시대로
동아사이언스
l
2014.01.17
약 20% 낮다. - SK케미칼 제공 태평양에는 한반도 면적의 7배에 달하는 플라스틱
쓰레기
섬이 있다. 인간의 삶에 편의를 제공하던 플라스틱이 바다 생물의 생명을 위협하는 공포의 대상이 된 것이다. 최근 석유화학산업을 이야기하는 ‘페트로 리파이너리’에 대응해 생명 자원에서 다양한 소재와 ... ...
생명 과학의 역사를 송두리째 바꾼 주인공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데뷔하게 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었다. 그러나 실험실 밖에서 초파리는 여전히
쓰레기
장에 들끓는 더럽고 하등한 곤충으로 여겨진다. 그렇지만 최초로 완성된 유전자 지도가 초파리의 것이었고, 묻혀 있던 멘델의 이분법을 증명하고, 다윈은 해결하지 못했던 고민을 끝낸 것도 초파리라는 것은 ... ...
느닷없이 떨어지는 우주물체? 이제 걱정 마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1.11
이 시스템은 구경 50cm인 광시야망원경을 이용해 우주에 떠 있는 인공위성이나 우주
쓰레기
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실제로 천문연은 이 시스템을 이용해 2008년 수명을 다한 아리랑 1호’ 위성과 2009년 운용이 끝난 ‘과학기술위성 1호’를 정확히 찾아내며 성능을 입증했다. 1초각(360 ... ...
언어와 음악능력 뛰어난 사람의 뇌 들여다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1.03
또 그는 “인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적은 자원으로 도시를 효율적으로 운영한다면,
쓰레기
배출량 최고점을 찍고 이제는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여성의 뇌를 MRI로 스캔한 사진과 뇌신경회로의 모습을 합성해 이미지화했다. -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 ...
사람도 쥐도 초파리도 잠을 자야만 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3.10.21
노폐물을 청소하는 시간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따라서 잠을 자지 못하면 뇌에
쓰레기
가 쌓여 탈이 날 수 있다는 말이다. 2. 깨어있을 때(왼쪽)는 세포 사이 공간이 좁아 뇌척수액이 주로 뇌 피질 표면에만 머무르지만, 잠잘 때(오른쪽)는 세포 사이 공간이 60%가 늘어나면서 뇌척수액이 침투하고 ... ...
태양광 발전소에 볕 든다
동아일보
l
2013.10.18
리마 해변 휴가 포착 [관련 뉴스] - “전력난 신경 안 써요” 태양광 주택 인기 ‘쑥’ -
쓰레기
통-개똥으로 돈 버는 청년들? - 김정일 황천보낸 숨은주역, 희천 발전소 - Nulear를 New Clear 하려면? 한국 원전 무엇이 문제인가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 ...
영화 '그래비티', 우주가 진짜 무서운 이유는 바로...
동아사이언스
l
2013.10.11
지구 주위 환경을 고려한 규제를 만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우리나라도 앞으로 우주
쓰레기
를 줄이기 위한 세계 기준에 맞춰 위성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채널A] 우주
쓰레기
24시간 감시한다…추적 시스템 개발
채널A
l
2013.10.07
약 50배 시야가 넓게 설계했습니다. 올해 초 지구로 추락한 러시아 위성 등 우주
쓰레기
의 위협이 있을 때마다 우리나라는 북미 항공우주방위사령부가 제공하는 정보에 전적으로 의존해왔습니다. 하지만 이제 우리도 자체 우주 감시 능력을 확보하게 됐습니다. 연구원은 다음 달 몽골에 추적소 설치를 ... ...
[채널A] KAIST 연구진, 세계 최초 대장균으로 휘발유 생산
채널A
l
2013.10.01
[앵커멘트] '백 투 더 퓨처'란 SF 영화에는
쓰레기
로 가는 자동차가 나오는데요. 국내 연구진이 대장균으로 휘발유를 만드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습니다. '대장균으로 가는 차'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이현경 과학전문기잡니다. [리포트] 자동차 연료로 사용되는 휘발유. 탄소와 수소가 주 ... ...
[에디터 칼럼] 홍콩할매귀신과 과학자의 책임
동아사이언스
l
2013.09.10
갖고 있다.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지금은 유익한 정보와
쓰레기
정보가 혼재돼 그야말로 ‘슈퍼 정보과잉’시대다. 이렇듯 정보과잉 상황에서 대중들이 어떤 정보의 참과 거짓을 판단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인터넷이나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같은 SNS를 통해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