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폐물
오물
잡동사니
찌꺼기
먼지
폐품
쓰래기
뉴스
"
쓰레기
"(으)로 총 656건 검색되었습니다.
안개 속에서도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안경 나오나
2015.12.07
잡아내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안경, 작은 막대 형태로 휴대할 수 있는 구명조끼, 음식물
쓰레기
를 빠르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할 수 있는 고속발효 기술 등이 X-프로젝트 1차 과제에 선정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X-프로젝트 추진위원회 주관 하에 선정평가와 대국민 공개 검증 등을 거쳐 2015년 제1차 X ... ...
빛 쪼여 성분분석 ‘광학기술’… 미생물 이용한 ‘대사공학’…
2015.10.26
것으로 전망된다. 바이오매스 발효 효과를 극대화한 세균을 개발하고, 이 세균을 이용해
쓰레기
속 유기물질을 석유 등의 자원으로 바꾸자는 것이다. 아직 상용화 단계는 아니지만 대사공학 분야에선 우리나라가 선도적이다. 이상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은 폐목재나 볏짚, 사탕수수 등을 먹고 ... ...
국방과학연구소, ‘암호장비 도난’ 허술한 대응 논란
동아일보
l
2015.10.12
없다. 따라서 이동 중에 분실할 수 있는 물건이 아니다. 형태가 특이한 전자장비여서
쓰레기
와 혼동해 버릴 가능성도 매우 낮다. 누가 의도적으로 떼어가지 않는 이상 잃어버릴 수 없다는 얘기다. 그럼에도 당국은 이 사건을 ‘분실 사건’으로 규정한 뒤 유야무야 처리했다. 당초 이 암호장비가 ... ...
[토요이슈]해외의 업사이클링 어디까지 왔나
동아일보
l
2015.10.03
콘셉트를 앞세워
쓰레기
의 재활용 비율을 높이려고 시도 중인 환경부는 독일처럼 ‘
쓰레기
직매립 비율 0%’를 달성하자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업사이클 업체들이 폐자원을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소재은행을 설치하고 재활용센터와 연계해 판매망 구축을 돕겠다는 방침을 세워놓고 있다. ... ...
DNA로 용의자 얼굴 그린다
2015.09.11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실제로 6월 홍콩에서는
쓰레기
무단투기를 막기 위한 조치로
쓰레기
에서 확보한 DNA에서 눈동자와 피부색, 얼굴 모양 등을 알아낸 뒤 용의자의 3차원 몽타주를 공개했다. 이는 DNA에서 사람의 외형을 예측하는 ‘DNA 표현형 분석 기술’의 발전 덕분이다. 기존의 유전자 ... ...
“펭귄 위(胃) 속엔 십중팔구 플라스틱
쓰레기
있다”
2015.09.01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공저자인 반 세빌리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박사는 “플라스틱
쓰레기
가 집중된 대양 중앙에는 동물이 거의 살지 않는다”며 “호주의 남쪽과 남아프리카, 남미 등 종 다양성이 풍부한 해양에서 현재 플라스틱은 가장 파괴적인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 ... ...
가장 이색적인 똥 직업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14
아직 근대 상하수도 시설이 갖춰지기 이전에 사람들은 건물 위에서 그대로 인분이나
쓰레기
를 거리로 쏟아 버리곤 했어요. 그럼 오물이 행인들의 머리에 떨어져 봉변을 당하곤 했지요. 16세기 들어서는 영국 런던에 인구가 급증하기 시작했는데, 그 결과 불어난 오물이 더욱 큰 문제로 떠올랐어요. ... ...
뇌과학으로 분석한 영화 ‘인사이드 아웃’
2015.07.17
라일리의 어린 시절 상상 속 친구인 ‘빙봉’과 함께 오래된 기억들이 버려지는 장소(
쓰레기
장)에서 탈출하려고 애쓰지만 그 안에서 일어나는 망각은 멈출 수도 없고 다시 돌이킬 수 없는 것으로 표현된다. 인지과학 전문가들은 이런 망각이 ‘망각 곡선(Forgetting Curve)’으로 불리는 특정한 곡선을 ... ...
세포 내 ‘
쓰레기
단백질’ 배출 원리 밝혀져
2015.06.16
신경세포를 손상시킨다. 파킨슨병과 루게릭병이 대표적인 예다. 연구진은 세포 내
쓰레기
인 변성 단백질이 p62라는 단백질과 접착해 세포 내 소각로 역할을 하는 리소좀에 전달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전에는 p62가 유비퀴틴이라는 물질을 이용해서 변성 단백질을 없애는 것으로 알려져 ... ...
25년에 한번꼴로 전염병 대유행… ‘독감’이 가장 위협적
2015.06.13
인간과 전염병의 전쟁은 최근 100년간 가장 치열했다. 급속한 산업화로 배출하는
쓰레기
가 늘면서 도시 위생상태는 엉망이 됐고, 자원 개발로 숲이 파괴되면서 야생동물과의 접촉이 늘어 새로운 전염병이 잇달아 등장했기 때문이다. ‘100년 전쟁’ 동안 전 세계적으로 100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