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550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생물
에 광나노입자 붙여 이산화탄소 화학물질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증대시킬 수 있고 광 나노입자로부터 생성된 전자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인공
미생물
개발연구에 실마리를 제공했다”고 말했다. 진상락 KAIST 생명과학과 석박사통합과정생이 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달 23일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실렸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면역작용에 상처까지 치료하는 대식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3.07
사이의 공간인 ‘복강’이 있다. 복강을 떠다니는 GATA6+대식세포는 몸에 해로운 이물질,
미생물
, 암세포를 잡아먹을 뿐 아니라 복강 내 조직에 상처가 생겼을 때 서로 뭉쳐 상처를 치료하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GATA6+대식세포의 역할은 잘 알려졌으나 GATA6+ 대식세포가 상처 부위를 찾고, 이동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우리 몸에는 생체시계 네트워크가 있다
2021.03.02
흥미로운 분야라는 말이다. 약 25억 년 전 지구 대기의 산소 농도가 높아지면서
미생물
의 생체시계 회로가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그 뒤 다양한 생체시계 회로가 진화했고 동물의 경우 약 7억 년 전 PER 진동자가 나타나 오늘에 이르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우리 몸에는 PER 진동자 외에도 ... ...
바이러스 전문가 "국내 코로나 상황 '바싹 마른 겨울 장작' 같아...잘 관리했지만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1.02.26
교수의 ‘코로나19 조절 가능한 질병인가’를 주제로 한 발표와 함께 황응수 서울대 의대
미생물
학교실 교수와 백경란 성균관대 의대 감염내과 교수, 이상일 울산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이영완 한국과학기자협회장(조선일보 과학전문기자)이 참여하는 패널토론도 진행됐다. 이영완 ... ...
10대 바이오 유망기술에 코로나 백신 도운 'AI 단백질 모델링'
동아사이언스
l
2021.02.24
친환경 고분자재료를 생산하는 ‘친환경 고분자 생산
미생물
’ 기술이 선정됐다.
미생물
군집구조와 같은 바이오 빅데이터를 활용해 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는 ‘빅데이터 기반 생태건강성 평가 기술’도 유망 기술로 꼽혔다. 김흥열 생명연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은 “전 세계를 혼란 ... ...
“돌연변이로 항원성 바뀌면 백신도 소용 없어”…변이 바이러스의 실체를 찾아서
동아사이언스
l
2021.02.19
검체에서 분리한 바이러스 3000여 주의 유전체가 분석됐다. 센터장인 박만성 고려대 의대
미생물
학교실 교수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여서 끊임없이 돌연변이가 일어난다”며 “유전체 분석을 통해 어디에 변이가 일어났는지 실시간으로 추적해야 백신의 유효성도 빨리 확인할 수 ... ...
영국서 새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B1525’ 또 발견...중화항체 무력화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2.16
변경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라빈드라 굽타 영국 케임브리지대 임상
미생물
학과 교수는 “E484K 변이를 포함한 변이바이러스는 항체를 회피하는 데 도움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신속한 테스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화이자 백신의 경우 영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 ... ...
마크로젠 2020년 영업익 72억원 창사 이래 '최대 실적'
동아사이언스
l
2021.02.16
지난해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거둘 수 있었다”며 “올해는 개인유전체 분석 사업, 장내
미생물
분석 사업, 암진단 서비스 등 신사업 성과 확대와 추가 사업 발굴에 주력해 성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
[랩큐멘터리] 전신 순환하는 면역세포에서 희망을 길어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1
뇌 등에서 일어나는 생명 현상에 관여한다. 연구실은 골수에 있는 CX3CR1+ 단핵구세포가
미생물
신호를 받아들여 조혈작용을 조절하는 기전을 밝혔고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블러드’ 2019년 10월호 표지 논문으로 실렸다. 세포면역학 연구실은 전신을 순환하며 질병에 대항하고 각종 생리작용에 ... ...
[과학게시판]제주도-KAIST. 방역시스템 개발 상호협력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2.10
수 있다.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중소기업 ‘오가넬’에 유해가스물질 저감
미생물
소재인 자색비황세균 배양기술 및 분석기술을 지원한 결과 미국식품의약국(FDA) 인증과 제품 출시에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에너지연은 이수연 광주바이오에너지연구개발센터 선임연구원괴 이지예 기술원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