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깃
윙
우익
지느러미
방향조정 날개
시준판
뉴스
"
날개
"(으)로 총 657건 검색되었습니다.
순간의 물방울도 머물지 않는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3.11.24
갈래로 쪼개져 튕겨져 날아가고 있다. 표면의 정체는 모르포 나비의
날개
. 모르포 나비의
날개
는 물방울이나 습기가 달라붙지 않는 소수성 성질이 매우 강하다.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물기가 표면에 묻지 않게 하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한 미국 MIT 공대 기계공학과 크리파 바라나시 교수팀의 ... ...
“화성 헤게모니를 선점하라”
동아일보
l
2013.11.20
Volatile EvolutioN)’에서 따온 이름으로 무게 2450kg, 길이 11.4m이며 양측에 태양열을 모으는
날개
를 장착했다. 메이븐을 쏘아 올리는 데 총 6억7100만 달러(약 7090억 원)가 투입됐다. 메이븐은 앞으로 약 10개월 동안 7억 km 정도를 날아 내년 9월 22일 화성 궤도에 진입한 뒤 화성 궤도를 돌며 대기를 집중 ... ...
올 봄 월북한 독수리 어디서 뭐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19
겨울철새인 독수리가 비상하고 있다. - 국림중앙과학관 제공 커다란
날개
를 쭉 펴고 시원스럽게 창공을 가르는 ‘독수리’의 모습은 ‘하늘의 제왕’이라는 별명이 왜 붙여졌는지 알 수 있게 한다. 매년 겨울이 되면 휴전선 인근은 독수리로 가득찬다. 대표적인 겨울철새인 독수리가 겨울을 ... ...
박쥐의 ‘나뭇잎 보청기’
과학동아
l
2013.10.31
생명과학과 에린 길람 교수팀은 남아메리카에 사는 소형 식충 박쥐인 ‘스픽스원반
날개
박쥐’의 집의 음향 구조를 연구했다. 이 박쥐는 생강목에 속하는 잎이 넓은 식물인 헬리코니아의 잎을 말아 튜브 모양의 집을 만드는 습성이 있는데, 튜브의 입구 크기가 마치 확성기처럼 한쪽은 작고 반대쪽은 ... ...
거대한 항공모함이 공중을 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0.28
회전하면서 추력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자세제어가 쉽다. 한편 항우연은 이번 행사에
날개
를 물레방아처럼 회전시켜 바람을 만들어 떠오르는 ‘사이클로콥터’도 공개할 예정이다. 헬리콥터 형태의 기존 회전익기에 비해 기동성이 좋고, 소음이 적기 때문에 군용 정찰기는 물론 조난, 화재 시 ... ...
[화보]제10회 바이오현미경사진전 영광의 수상작들은?
과학동아
l
2013.10.25
그래도 낙엽을 보고 있자면 쓸쓸해지는 건 어쩔 수 없다. 알을 낳고 죽은 나방의
날개
를 투명테이프로 고정한 뒤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모습이다. 자신의 생명을 다해 알을 낳고 죽은 누에나방의 모습이 봄에 필 새순을 위해 가을에 떨어진 낙엽과 닮았다. 행복한 수달 - 충북대 ... ...
비둘기
날개
짓 실감나게 재현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0.23
회초리처럼 휘어지는 깃털의 특징은 초고속 비디오카메라로 녹화해 분석했다. 또
날개
를 아래로 저을 때 막을 만들며 부력을 극대화하고, 위로 저을 때 서로 벌어진 깃털들이 회전하며 공기가 깃털 사이로 빠져나가는 새의 날갯짓을 정교한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사실적으로 재현했다. ... ...
美도 중도포기한 ‘틸트로터 무인기’ 떴다
동아일보
l
2013.10.18
관계자들도 긴장한 표정이었다. 대형 크레인에서 내린 안전줄에 묶인 KUS-TR의 양쪽
날개
프로펠러가 굉음을 내며 움직이기 시작했다. “오, 넷, 삼, 둘, 하나.”(항공용 통신에서 숫자 혼돈을 막기 위해 세는 방식) 동체 길이가 3.5m인 작은 무인기이지만 비행에 앞서 진행되는 각종 기기 확인 절차 등은 ... ...
호프스태터 나비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30
것 같다. 몸통은 두
날개
가 접히는 축에 놓인 경첩 정도라고 할까. 문짝이 여닫히듯
날개
가 펄럭이며 다음 경로가 어딘지 알 수 없을 정도로 어지럽게 날아다니는 나비. 그래서 우리는 나비가 나는 모습을 보며 ‘춤춘다’는 표현을 쓴다. 이런 나비 비행의 불안정함에서 영감을 얻은 것일까. 200 ... ...
톱니바퀴는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야~
과학동아
l
2013.09.26
“자연 속에서 톱 니바퀴를 찾은 것은 이번이 최초”라고 말했다. 플랜트호퍼는
날개
가 없는 대신 강 한 뒷다리 힘으로 뛰어다니는 곤충. 그런데 공중에서 몸의 방향이 비틀리는 일 없이 원하는 대로 날아가기 위해서는 두 다리가 동시에 땅을 박차야 한다. 플랜트호퍼의 두 다리는 30마이크로 초(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