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깃
윙
우익
지느러미
방향조정 날개
시준판
뉴스
"
날개
"(으)로 총 657건 검색되었습니다.
[Happy New Year! 을미년] ‘푸른 양’ 정말 있을까
2015.01.01
수 있다. 화려한 청색이 실제로는 청색이 아닌 경우도 있다. 공작새의 깃털이나 모포나비
날개
의 진짜 빛깔은 청색이 아니라 투명하다. 공작새의 깃털에는 1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지름에 수백 nm 길이의 투명한 단백질이 층층이 쌓여 있는데 여기에서 빛의 산란이 일어난다. 태양빛이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돌연변이체들. 더듬이가 날 자리에 다리가 달린 안테나페디아(오른쪽 위)와
날개
가 넷 달린 변이체(오른쪽 아래). - 칼텍 제공 호메오유전자는 초파리(곤충)뿐 아니라 개구리(양서류), 쥐(포유류)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유럽에서는 사람을 대상으로 이런 연구를 할 수 없어 게링 ... ...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 신종 딱정벌레 98종 발견
2014.12.22
발견한 딱정벌레들. - Alexander Riedel 제공 연구진은 이번에 발견한 딱정벌레들이 모두
날개
가 없다는 점을 근거로 이 딱정벌레들이 수백 만 년 동안 이 지역에서만 서식해 왔을 거라고 추정했다. 원시림 개발이 이뤄질 경우 이들의 생존이 위협받을 수 있는 셈이다. 리델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가 ... ...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꿀벌처럼 공동체를 위해 서로 협동하는 존재들인 줄로만 알았다. 논문은 초파리의
날개
발생 과정에서 세포들 사이에 일어나는 세포경쟁(cell competition)의 메커니즘을 밝혔다는 내용이다. 즉 유전적 변이로 활력이 떨어진 세포는 주위의 정상 세포로부터 어떤 신호를 받아 세포자살의 길로 ... ...
IT가 이끄는 제3의 물결… 산업의 경계 허물다
동아일보
l
2014.11.27
터빈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풍력 에너지를 최대 수준으로 얻을 수 있도록 각
날개
의 움직임을 조정해 주는 스마트 풍력발전기는 이전에 구현할 수 없었던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 자율화는 스마트·커넥티드 제품에서 모니터링, 제어, 최적화라는 세 가지 기능이 결합된 궁극의 단계라 할 수 ... ...
“손목에 스마트 밴드 차니 3㎏이 쑥 빠졌네~”
2014.10.05
분당서울대병원과 SK텔레콤은 입원 환자가 병실에 앉아서 입원생활 정보와 진료 일정, 진료비 결제 등을 마칠 수 있는 스마트병원 솔루션을 개발했다. - SK텔레콤 제공 임병석 씨(48·남·서울 서초구)는 손목에 차는 스마트 밴드 덕분에 생활습관이 건강하게 바뀌었다. 스마트 밴드를 통해 걸음수와 ... ...
톰슨로이터, 노벨과학상 수상후보 한국 과학자 첫 지목
2014.09.26
발표되기 전까지 미지의 물질로 남아있었다. 유 단장은 여기에 ‘실용성’이라는
날개
를 달았다. 메조다공성물질의 구멍 크기를 키우고 다양화해 활용도를 높인 것이다. 실리카(이산화규소)로만 만들던 메조다공성물질을 2007년에 탄소로 만들고, 2011년에는 ‘제올라이트’라는 광물로 만드는 ... ...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에 야생동물 수명 줄어
2014.09.23
부모세대가 방사능에 많이 오염된 먹이를 먹은 경우 정상 먹이를 먹여도 일부에서 앞
날개
크기가 작은 기형이 나타났다. 오타키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오염된 정도와 관계없이 방사능 자체가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것”이라며 “오염원을 제거하면 효과가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제목이 그를 보는 학계의 경이로운 시선을 상징하고 있다. - 네이처 제공 추락하는 것은
날개
가 있다. - 잉게보르크 바하만 어쩌다 신문에서 과학칼럼 청탁이 들어와도 필자는 고사를 하는데, 물론 자신이 없기 때문이다. 주로 이공계 직업 종사자들이나 과학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 주독자인 ... ...
"공기 전염 에볼라는 당분간 불가능"
과학동아
l
2014.09.15
감염병으로 세계를 공포에 몰아넣고 있는 에볼라 바이러스가 공기 전염이라는 ‘
날개
’를 달 수 있을지 묻는 질문에, 성백린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와 정용석 경희대 교수(이과대학 부학장)는 이렇게 말했다. 정 교수와 성 교수는 과학동아가 9월 13일 개최한 과학토크콘서트 ‘과학동아 카페’에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