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맥
meal
mill
mille
d라이브러리
"
밀
"(으)로 총 63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의 가뭄피해 날로 확산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대책을 논의하고있지만 비를 오게 하지는 못하고 있다.세계적인 공급규모에서 미국은
밀
의 23%, 옥수수의 73%를 차지하고 있다. 곡물흉작이 세계경제에 미칠 영향도 심각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곡물흉작으로 소나 돼지등 가축가격파동도 필연적으로 따를것 같다고 전문기관들은 예측하고 있다. 최근 ... ...
인도ㆍ파키스탄의 북부접경지대 발루치스탄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만들어 생활하고 있다. 특히 해발 3천m 내외의 고지대는 기온이 알맞아 주로
밀
을 재배하고 있고 과수재배와 목축도 활발하다.이런 지리적 환경속에 있는 발루치스탄지방은 세계 제2차대전이 끝난후 영국통치에서 벗어나 인도에 속했다가 1947년에 독립된 파키스탄의 영토가 되었고 1970년엔 주로 ... ...
솔입혹파리 때문에 소나무 전멸위기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이 경우 물론 절대적으로 보호해야 하는 삼림은 상당한 희생을 무릎쓰고라도 혹파리
밀
도를 소규모이나 단기적으로 격감시킬 수 있다고 보고된 농약에 의한 방제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솔잎혹파리의 문제는 비교적 안정도가 큰 삼림의 문제이며 따라서 그 발생 및 확대과정도 장기적이며 이에 ... ...
버려진 식물을 자원으로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세계에서 식량으로 쓰이고 있는 주요 작물은 몇가지에 불과하다. 즉
밀
쌀 옥수수 감자 보리 등. 학자들은 "현대인은 재배의 편리와 먹기 좋은것만 가려서 집중 재배 해 왔기 때문에 석기시대 사람들이 길렀던 것보다 적은 종류의 곡식을 가꾸고 있다"고 지적한다. 최근 영국 '사우댐프턴'에서 열린 ... ...
수면 물질의 추적 왜 잠을 자게 되는가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것 같다.과학자들은 ‘뮤라
밀
펩타이드’를 합성했으며, 크뤼거는 하나의 변이형 뮤라
밀
디펩타이드(MDP)가 생쥐·토끼·고양이·원숭이에게 주입될 때 평상시보다 더 많은 비─REM수면을 가져온다는 사실을 증명했다.(REM 수면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사람에게 MDP를 시험삼아 써 본 적은 없다. 효과상 ... ...
각광받는 식용버섯들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버섯으로 활엽수와 침엽수의 톱밥재배로 잘 발생되고 재배도 쉽다. 특히 소나무톱밥에
밀
기울을 30% 첨가하였을 때 수량이 가장 높게 나오는데 15~18도에서 자실체가 잘 발생되며 생육도 빠르고 맛도 또한 좋다.노루궁뎅이버섯노루궁뎅이버섯은 가을철 떡갈나무 너도밤나무 등 광엽수의 상처부위나 ... ...
「핵가을」이 「핵기근」몰고 온다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영하로 떨어져도 쌀농사는 망치게 되며, 작물성장기의 온도가 4℃ 하락하면 캐나다의
밀
과 보리는 완전히 수확불능이라고 한다. '핵겨울'이든 '핵가을'이든 결과는 '핵기근'이 온다는 것이다 ... ...
남해안 겨울철새 타마사를 마치고「산교육」의 좋은 기회였읍니다.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안보일 정도로 몰려들었읍니다. 하지만 요즘엔 그 수가 아주 줄어들었어요. 독극물로
밀
렵을 하고, 지나가다가도 철새가 모여있으면 돌을 던져 날려보낸 덕분이지요. 앞으로 이번 탐사대원들은 각자의 고장에서 철새에 대해 남다른 관심을 보일줄로 알지만, 서로 연락을 통해 지속적인 조사작업을 ... ...
블랙홀은 결코 괴물이 아니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Thorne)이 주축이 된 거대한 블랙홀의 이론이 올바른 것으로 '당선' 확정되었다.최근의 정
밀
한 관측 자료들은 우리 은하 그리고 이웃인 안드로메다(Andromeda) 은하의 중심에도 태양 질량의 수백만 배에 이르는 블랙홀이 존재함을 확인하고 있다. 따라서 여러 은하 중심에 태양 질량의 1백만~1억배에 ... ...
따비, 괭이에서 달구지, 트랙터까지 농업의 역사를 한눈에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품종으로
밀
다리(경기도 김포군 통진면과 하성면 사이에 놓인 다리) 근처에서 재배돼
밀
다리벼라 명명된 것으로 미질이 좋아 왕실에 진상되었는데 쌀이 스스로 빛을 낸다 하여 왕이 자광(自光)벼라고 이름지었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협동유적실(協同遺跡室)은 우리 민족의 협동의 역사를 기리기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