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측"(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 블랙홀을 찾아낸 사람들에게 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끝이 아니에요. 그린란드에 있는 전파 천문대가 이미 EHT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관측을 시작했고, 2021년까지 2개의 천문 대가 더 참여할 예정이지요. 그럼 이번에 발표한 것보다 더 나은 블랙홀 이미지를 얻을 수 있을 거예요. 현재 EHT 연구팀은 우리 은하 중심의 블랙홀인 ‘궁수자리 A*’의 이미지를 ... ...
- [에디터노트] 과학에서 머리카락이란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이를 입증한 논문을 2016년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발표했다. 하지만 2017년 처음 관측된 중력파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블랙홀은 ‘no-hair’인 것으로 최근 확인됐다. 일단은 호킹 박사가 틀린 것이다.적어도 과학에서는 머리카락이 첨단 법유전학의 시료이자 우주에 대한 인류의 원초적인 궁금증에 ... ...
- 이탈리아 최초, 유럽 여성 우주인 최장 기록 세운 사만다 크리스토포레티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다른 나라 우주인이 중국에서 함께 훈련을 받은 건 그때가 처음이었다. ▲ ISS에 있는 관측용 유닛 ‘큐폴라’에서 사진 촬영 중인 사만다. 거대한 창을 통해 지구와 우주를 파노라마로 볼 수 있다.기회는 준비된 사람에게 온다사만다는 이탈리아 최초 여성 우주인인 동시에, 이탈리아 공군 최초 ... ...
- [과학뉴스] 태양 질량의 2.17배 역대 가장 무거운 중성자별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관측한 중성자별 J0740+6620의 펄스파를 분석한 결과, 이 중성자별이 지금까지 관측된 중성자별 가운데 가장 무겁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지구에서 4600광년 떨어져 있는 이 별의 질량은 태양의 2.17배에 달했다.그간 중성자별이 탄생할 수 있는 한계치는 태양의 2배가량으로 여겨졌으며, 별의 질량이 이를 ... ...
- 블랙홀 어떻게 찍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후, 만든 이미지가 믿을 만한지 검증하는 실험이 이어졌죠. 1년 가까운 실험 끝에 블랙홀 관측 결과가 최종적으로 발표되었 답니다. 우리가 본 한 장의 사진은, 실은 10년 동안 이어진 프로젝트에 참여한 200여명의 세계의 과학자들이 만들어낸 합동작품인 셈이에요. 용어정리페타바이트(Petabyte, PB) : ... ...
- 블랙홀 어떻게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발견되고 있답니다. 초거대 블랙홀은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진다?그런데 이번에 관측된 M87*은 보통의 항성 블랙 홀보다 훨씬 커요. M87*같은 초거대 블랙홀은 보 통 은하 중심에서 발견돼요. 그래서 천문학자들은 M87*같은 초거대 블랙홀이 우주가 만들어진 지 얼마 지나지 않았을 무렵 다른 ... ...
- [과학뉴스] 열대 지방의 배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고?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위성인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OCO-2’와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GOSAT’의 관측 결과를 종합해 2009~2017년 열대 지방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흡수량과 배출량을 계산했다. 그 결과 아시아, 호주, 남아메리카의 열대 지방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것과 달리, 열대 아프리카는 오히려 ... ...
- 산불 철저하고 확실하게 대응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우리나라가 위치한 동경 128°, 약 3만 6000km 고도에서 시속 1만 1000km로 회전하지요. 기상 관측을 하는 천리안2A호는 이전에 발사된 천리안1호보다 영상을 찍고 지구에 전송하는 시간이 대폭 짧아졌어요. 우리나라 주변은 2분마다, 아시아와 태평양을 포함한 북반구 일부는 10분마다 영상을 찍어 ... ...
- [과학뉴스] 인류 역사상 최초로 '블랙홀' 관측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5500만 광년 떨어진 타원은하 ‘M87’의 중심에 있는 초거대 블랙홀을 약 열흘 동안 관측했어요. 강한 중력으로 왜곡된 빛은 도넛 모양으로 빛났고, 그 안쪽 검은 부분에 블랙홀과 블랙홀의 그림자가 나타났어요. 분석 결과, 이 블랙홀은 태양보다 65억 배 무겁고, 지름이 400억 km나 되는 것으로 ... ...
- [과학뉴스] 외계 전파 위치, ‘원샷 원킬’로 확인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ASKAP는 구경 12m인 대형 전파망원경 36대가 연결된 거대한 우주 관측망이다. 이번에 연구팀이 찾아낸 ‘FRB 180924’는 지구로부터 약 41억 광년 떨어진 대형 타원은하 중심에서 약 1만3000광년 떨어진 곳에서 발생했으며, 위치 확인에 성공한 건 2012년 포착된 ‘FRB 121102’에 이어 두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