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휴머노이드와 사랑에 빠진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장착하고 걷기만 하면 전기가 생기는 ‘파워 브레이크’를 만들어 ‘사이언스’에
발표
하기도 했다(과학동아 2008년 10월 ‘몸에서 에너지 뽑는 인간발전소’ 참고).“앞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는 수동보행과 능동보행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전망입니다. 사람 몸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수록 ... ...
2003년 디디에르 라울 교수의 미미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기생하는 바이러스라울 교수팀은 2008년 9월 4일자 ‘네이처’에 또 다른 놀라운 사실을
발표
했다. 프랑스 파리의 한 냉각탑에서 찾은, 미미바이러스와 비슷하지만 좀 더 큰 바이러스 안에 조그만 바이러스가 기생하고 있음을 발견했다는 것. 마마바이러스(mamavirus)라고 명명한 이 바이러스 역시 ... ...
다이아몬드처럼 빛나는 IPSAP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1990년대 초 김 교수는 국제학회에 참석했다가 병렬컴퓨팅을 사용하면 효율이 뛰어나다는
발표
를 듣곤 구조물이 매우 복잡한 항공기를 해석하는데 병렬컴퓨팅을 적용해보자고 생각했다. 학회에서 돌아오자마자 김 교수는 대학원 석·박사과정 학생들과 함께 병렬컴퓨팅 환경을 뒷받침하는 ... ...
2009년 기축년(己丑年), 소를 생각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지난해 초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복제소나 복제돼지를 먹어도 전혀 문제가 없다고
발표
해 큰 파문을 일으켰다. 100년에 한 번 나올까말까 하는 형질이 우수한 소가 태어나 정액을 확보했더라도 암컷 난자의 유전자와 섞이면 그만 못한 새끼가 나오기 마련인데 이제 그럴 걱정을 할 필요가 없어진 ... ...
2012학년도 수능 어떻게 바뀌나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변화가 생긴다.교육과학기술부는 2008년 12월 15일 ‘2012학년도 수능 체제 개편안’을
발표
했다. 이번 안에 따르면 현재 각각 13과목과 8과목 중 최대 4과목까지 선택하도록 한 사회탐구와 과학탐구는 2012학년도부터 선택할 수 있는 과목이 최대 3과목으로 축소된다.2002년 7차 교육과정 개편을 통해 고교 ... ...
“날씬한 비밀은 과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오상우 교수팀은 비만 청소년이 정상 체중에 비해 과일을 적게 먹는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
했어요. 연구팀이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1996년에 비해 2005년에는 2~18세 사이의 소아청소년 비만 인구가 남녀 각각 1.9배와 1.4배 늘었다고 해요. 이 때 13~19세의 비만 청소년의 과일 섭취량은 건강한 정상 ... ...
퍼져라~! 행복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내렸다. 이 돈은 당시 영국의 1인당 국민소득보다도 큰 액수다.행복바이러스 연구 결과를
발표
한 파울러 교수도 750만 원의 돈이 생겼을 때 생기는 행복감은‘친구의 친구의 친구’가 행복한 경우의 3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사람들 사이에서 느끼는 행복은 돈 주고도 살 수 없다는 말이 ... ...
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870년 월리스는 인간의 형질만큼은 자연선택의 산물로 설명될 수 없다고 주장하는 논문을
발표
했다. 월리스는 남미와 말레이시아 등 여러 지역의 토착민들과 여러 해 함께 살았다. 그들 중에는 문명사회와 전혀 접촉하지 않고 야만적인 삶을 영위하는 부족들도 있었다. 하지만 그들의 지적 능력이 ... ...
[천문우주]태양계 밖 행성서 이산화탄소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여우자리의 별 주위를 도는 행성 HD 189733b의 대기에서 이산화탄소의 증거를 포착했다고
발표
했다. 태양계 밖 행성에서 이산화탄소가 발견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HD 189733b의 표면을 덮고 있는 대기는 이 행성 내부에서 나오는 특정 파장대의 빛을 흡수한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 마크 스웨인 박사팀은 ... ...
[대기과학]태양 흑점 보면 기후가 보인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변화와 관계있다는 연구결과를 지리학 국제 저널인 ‘지오그래피컬 리서치’ 12월호에
발표
했다.베이커 박사는 1875년부터 2007년까지 태양 흑점 수의 변화를 조사해 호주 일대의 강우량 증감 양상과 비교했다. 그 결과 흑점 수는 짧게는 11년마다, 길게는 88년마다 증가와 감소를 반복했고, 이 주기는 ... ...
이전
625
626
627
628
629
630
631
632
6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