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을 ‘LCD의 아버지’로 임명합니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인위적으로 신호를 보내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발표
했다. 세포막의 구조를 변형시켜 세포 내부로 원하는 신호를 보내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처럼 세포 내부의 신호 전달이 잘못돼 생기는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한 것.인쇄전자기술도 요즘 이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돼 맹렬하게 활동했다. ‘종의 기원’이 출판된 다음해인 1860년 영국과학진흥회의 연례
발표
는 옥스퍼드에서 있었다. 그 자리에서 헉슬리는 “당신의 아버지와 어머니 어느 쪽이 원숭이를 조상으로 했는가?”라는 윌버포스 주교의 농담에 “자신이 알지 못하는 논의를 하기 위해 지적능력을 ... ...
마르지 않은 태안의 검은 눈물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환경NGO 생태지평연구소 장지연 연구원은 “정부의 해양오염영향조사에 대한 결과
발표
는 조사지역 전체의 평균값이 강조된 측면이 없지 않다”며 “방제 우선순위에서 밀린 지역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태안반도를 갑작스런 교통사고를 당한 중환자로 비유하면 지금까지는 ... ...
넌센스! 오징어먹물 염색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염색약’에서 오징어먹물은 염색효과가 전혀 없다며 소비자들이 현혹돼서는 안 된다고
발표
했다. 아울러 해당업체들에게는 허위과대광고 여부를 조사하겠다고 경고했다. 도대체 오징어먹물이 뭐기에 이런 소동까지 벌어졌을까.오징어를 먹지 않는 나라들이 많다지만 우리나라에서 오징어는 ... ...
한겨울 몸값 치솟는 비타민 D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갈수록 비타민D가 부족해져 이로 인한 질병이 크게 늘고 있다는 연구결과들도 속속
발표
되고 있다.‘뼈를 튼튼하게 하고 부족할 경우 구루병을 일으킨다’는 정도로 알고 있는 비타민D의 숨겨진 모습을 들여다보자.엄밀히 말하면 비타민이 아니라 호르몬 비타민이란 ‘우리 몸에 꼭 필요하지만 ... ...
한국인 게놈 지도 나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3년에 걸쳐 1000명의 게놈 지도를 해독하겠다는 ‘1000 게놈 프로젝트’를 2007년 말
발표
했고, ‘개인 유전체학의 창시자’로 불리는 미국 하버드대 의대 조지 처치 교수팀은 비슷한 시기 포털사이트 구글의 지원을 받아 ‘개인 게놈 프로젝트’를 시작해 10만 명의 게놈 해독에 착수했다.영국 ... ...
유도다기능줄기세포, 광우병 논란 1위 선정돼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멜라민이 중국산 과자와 식품에서 검출된 ‘멜라민파동’이, 5위는 지난 11월에
발표
된 2008 노벨 과학상 수상자 가운데 일본이 물리학과 화학 분야에서 4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는 소식이 차지했다.그 뒤를 이어 2008년 6월 최초 플라스마 발생 실험에 성공해 핵융합 에너지 개발의 발판을 마련한 ... ...
"나 야생으로 돌아갈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사는 것에 비해, 동물원에 사는 아프리카코끼리는 평균 16.9년을 살았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
했어요. 연구팀은 동물원 코끼리들이 스트레스나 비만에 더 약하고 새끼 사망률도 높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어요. 동물원에 사는 코끼리의 수명이 야생에 사는 코끼리의 절반도 되지 않는다니, ... ...
우주 나이 밝힌 허블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특히 허블은 1929년 1월 ‘허블 법칙’을 담은 논문을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
하면서 당시 할리우드 스타들보다 더 유명해졌다. 허블 법칙은 다름 아니라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뜻하기 때문이다. 허블이 발견한 우주 팽창은 갈릴레이가 망원경을 제작해 천체를 관측한 이래 인류가 이룬 ... ...
별의 전령사, 갈릴레이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걸 확인하자, 비로소 금성이 달처럼 차고 이지러진다는 사실을 관측했다고 자신 있게
발표
할 수 있었다.태양 흑점은 케플러가 1607년 우연히 발견했지만 그는 흑점을 수성이라고 착각했다. 이 덕분에 갈릴레이는 태양 흑점 발견자라는 영예를 누렸다. 그는 1612년~1613년에 망원경으로 태양 흑점을 ... ...
이전
624
625
626
627
628
629
630
631
6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