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한민국
코리아
korea
대한
남한
Korea
대한 민국
스페셜
"
한국
"(으)로 총 679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협회가 BIO KOREA 참가 못하는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1.07.13
주관하는 행사로 올해는 9월 28일부터 사흘간 열릴 예정이다. 서 회장은 “
한국
바이오가 아시아권을 리드하려면 이런 행사를 제대로 해야 한다”며 “하지만 협회는 지금까지 BIO KOREA 행사에서 배제돼 왔다”고 성토했다. -협회가 BIO KOREA에 들어가지 못하는 배경은.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행사다. ... ...
세계 최대 바이오박람회 키워드는 ‘바이오시밀러’
동아사이언스
l
2011.07.12
임상 수행 건수로
한국
은 세계 2위다. 전 세계에서 신약을 만들면 임상을 맡기기 위해
한국
으로 몰려든다”며 “우수한 인력과 기술, 인프라를 바탕으로 이제 대기업까지 본격 진출하면서 하나의 산업 생태계가 완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007년~현재 세계 줄기세포 프로테옴 이니셔티브 공동의장 -2007년~현재 국제 줄기세포 포럼
한국
대표 -2008년~2009년 국제 줄기세포 학회(ISSCR) 정부정책분과 위원 -2010년~2011년 국가 과학기술위원회 재생의료 실무위원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 ...
삼성, 글로벌 바이오 전시회에 단독 부스로 참가
동아사이언스
l
2011.06.29
sypyo@donga.com 현병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은 “삼성전자가 단독 부스로 참가한 것은
한국
바이오 분야가 사이언스에서 테크놀로지를 거쳐 이제 반도체 같은 산업화에 본격 진입했음을 상징한다”고 평했다. 코스닥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셀트리온 관계자도 “훗날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분야 ... ...
정혁 생명硏 새 원장의 포부… “연구를 취미생활처럼”
동아사이언스
l
2011.06.21
년~2010년 교육과학기술부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자생식물이용기술개발사업단장 - 2011년~
한국
생명공학연구원 원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대한민국 생명공학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 자료로 ... ...
“이제 ‘블록버스터’ 시대는 갔다…하지만 정부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6.08
이 분야에서 중국이 앞서 있는 건 소수라도 명맥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반면 그 시기
한국
은 유전학에 투자하지 않아 전공자들이 대부분 다른 분야로 옮겨 갔다. ▽최병호 소장=국내 업계의 낮은 경쟁력은 역설적으로 정부의 과보호가 원인이다. 제약 분야는 타 제조업에 비해 정부 지원을 특히 많이 ... ...
“생명공학 발전 위해 부처간 조정이 필수적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6.06
이사 - 2009년~현재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100 선정위원회 총괄선정위원 - 2010년~현재
한국
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 생명공학단장 - 2010년~현재 차세대바이오그린21사업 발족추진단 위원(농촌진흥청)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 ...
“연구 집중하는 임상교수 많아야 세계적 의대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5.23
낮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 결과 연구 경쟁력에 큰 차이를 보인다는 것. 현 교수는 “
한국
임상의 교수들도 환자를 보며 얻은 데이터로 많은 논문을 내고 있지만 미국 의학 연구진만큼 최고 수준 학술지에 논문을 내는 단계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 교수는 임상을 전제로 한 ... ...
“바이오연구 지원 ‘그랜트’ 형식해야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11.05.11
분자생명과학부 교수 - 1993년~1995년 한양대학교 이과대학 학과장 - 2001년~2003년
한국
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전문위원 - 2004년~2005년 한양대학교 과학기술대학 학장 - 2005년~2007년 차세대성장동력 바이오신약단장기사업단 사업단장 - 2006년~2008년 교육과학기술부 국제화추진위원회 위원장 - 2011년~현재 ... ...
“2015년 단백질 지도 완성…연속성 있는 연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25
‘이것만은 꼭!’ △연속성을 갖고 연구가 진행돼야 한다. △발전된 IT와 BT를 결합하면
한국
의 바이오 역량은 해외에서도 해볼만 하다. 울렌 교수는 - 1974년~1979년 스웨덴 왕립공대(KTH) 석사 - 1979년~1984년 스웨덴 왕립공대(KTH) 박사 - 1985년~1986년 독일 유럽분자생물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 1987년~현재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