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한민국
코리아
korea
대한
남한
Korea
대한 민국
스페셜
"
한국
"(으)로 총 67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1.11.28
9년~2010년 보건복지부 HT포럼 공동대표 2009년~현재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정회원 2010년~현재
한국
보건산업진흥원 R&D진흥본부 본부장 2011년~현재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생명복지전문위원회 위원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 ...
“연구는 고정관념과의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1.11.07
이 장학금은 서호주대 학부과정 등록금 전액(2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마셜 교수는 “
한국
학생들은 창의적이고 활동적이며 재미있다”면서도 “가끔은 너무 지나치게 공부하는 것 같은 느낌도 받고 있는데 이제는 좀 쉬엄쉬엄해도 되지 않을까 싶다”며 웃었다. 배리 마셜 교수의 ‘이것만은 꼭!’ ... ...
“국내 신약개발, 사업화 역량만 키우면 승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11.01
대학,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과의 협력 문제에 대해 언급했다. “그동안
한국
생명공학연구원, 대학 등에서 쌓아온 생명과학분야 기초과학 연구실력은 결코 국제 수준에 뒤떨어지지 않는다. 해외 유명저널에 이름을 올리지 않는 날이 없다”면서 “오송 센터에선 이런 국가적 역량을 ‘산업’으로 ... ...
떠오르는 해양생명공학…세계적 수준 따라잡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10.17
계획도 젊은 학자들을 육성하기 위한 디딤돌이 되기 위한 것”이라며
한국
해양연구원을
한국
해양과기원으로 통합안도 그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통합안이 통과되면 국책연구기관과 대학이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해양학 분야의 젊은 과학자들이 사회로 나갈 수 있는 기회가 더 넓어질 것이란다. ... ...
바이오분야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 절실…생명공학 인력 DB확보로 해결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09.05
졸업 -1998년 2월 순천향대 생물학과 석사 -2002년 8월 순천향대 생물학과 박사 -2002~2005년
한국
생명공학연구원 유전체연구센터 유전체구조분석실 생물정보 팀장 -2005~2011년 인제대 의대 조교수 -2010년~2011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 영남거점 센터장 -현재 국가과학기술위원회 ... ...
"발전 가능성 높은 바이오화학 분야 적극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02
-2008년~2009년
한국
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인프라사업본부장 -2011년~현재
한국
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본부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대한민국 생명공학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 자료로 활용됩니다. ※ ... ...
한국
바이오 기업이 주목해야할 미국 바이오 분야의 특징들
동아사이언스
l
2011.07.20
앞선 사례와 정보가 더욱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의 한인 네트워크들이
한국
의 모든 산학연 기관과 자유롭게 교류하는 수준으로 올리는 게 센터의 목표”라며 “활발한 소통을 위한 정책과 지원 프로그램을 만들어 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 이 좌담회 시리즈는 ... ...
“연구자 홀로서기 지원하는 박사후연구원 정책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8
학자들이 이런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 복귀를 위한 정보를 얻고 학술 교류를 하고 있어요.
한국
BT 발전에도 도움이 될 NEBS 같은 단체가 재정적 어려움을 덜고 더욱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정책 지원이 있었으면 합니다.” 박상원 회장의 ‘이것만은 꼭!’ △독립된 연구자로 홀로 서기 위한 ... ...
“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7
가져가면 어떻게 할까 이런 생각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현병환 센터장=기업 규모는
한국
정부도 아주 관심을 기울이는 분야다. 특히 보건복지부가 국내 제약기업 통폐합에 관심이 많다. 보건복지부의 의뢰를 받아 연 매출 3조~5조 원 규모의 제약사를 만들자는 정책을 기획한 적이 있다. 물론 M ... ...
“연구성과 따른 장려금제도 등 재미과학자도 정부지원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15
국가과학자 8명 중 한 명이다. 박 회장은 “훗날
한국
에 정착하려는 회원이 많다”면서 “
한국
의 미래에 투자한다는 생각으로 정부가 재외 생명과학자들을 대상으로 연구과제 지원이나 연구 성과에 따른 펠로십(장려금) 제도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보스턴=서영표 동아사이언스 기자 sypyo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