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뉴스
"
은하
"(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도민준 별’ 쉴틈없이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03.30
혜성을 미리 발견해 대비할 수 있고 초신성 폭발 현상과 외부
은하
를 관측해 별과
은하
의 진화 연구에도 활용할 수 있다. 시스템의 핵심 원리는 별빛이 중력에 의해 휘어져 밝아 보이는 ‘중력렌즈 현상’이다. 행성이 별 주위를 돌다가 별과 행성, 관측자가 일직선상에 놓일 경우 별빛이 갑자기 ... ...
태초에 우주는 급팽창했노라!
동아사이언스
l
2014.03.25
인플레이션은 왜 필요했을까. 1929년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이 멀리 있는
은하
들일수록 점점 더 빨리 멀어진다는 사실, 즉 우주 팽창을 발견했다. 우주 팽창이라는 영화를 뒤로 돌린다면, 태초에 모든 것이 한 점에 모이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빅뱅의 순간이다. 우주가 빅뱅이라는 ... ...
우주에 핀 ‘해바라기’…제2의 지구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03.25
개발해 시제품 제작에 들어갔다고 20일 밝혔다. 2009년 발사된 케플러망원경이 우리
은하
계의 15만 개 행성을 관찰하며 ‘케플러 22b’ ‘케플러 269f’ 같은 제2의 지구 후보군을 찾고 있다. 하지만 ‘항성’의 강렬한 빛 때문에 물의 존재 여부나 화학 조성 등을 분석, 생명체의 증거를 찾는 데 ... ...
예상보다 작고 강한 '놈'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3.23
더 큰 블랙홀로 과대평가돼 왔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MQ1이 만든 퀘이사가 우리
은하
에서 가장 강력한 마이크로퀘이사인 SS433보다 10배나 더 강력했기 때문. 이는 그만큼 MQ1이 매우 강력한 블랙홀이라는 뜻도 된다. 지름은 서울에서 천안까지의 거리인 100km 정도밖에 되지 않지만 강력한 ... ...
우주의 역사, 어디까지 밝혀졌나
과학동아
l
2014.03.21
완벽하지는 않지만 균일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아주 약간의 불균일 덕분에 우주에서
은하
와 별이 만들어지는 것이 가능했다. 빅뱅으로부터 4억 년이 흐른 뒤의 일이다. 이석천 고등과학원 물리학부 박사는 “인류가 예측하는 우주 역사의 굵직한 흐름은 이론과 실험값이 잘 맞아떨어지고 ... ...
[채널A] 초기 우주 생성 과정, ‘우주팽창’ 가설 첫 입증
채널A
l
2014.03.19
. 대폭발 직후 1경 분의 1경 분의 1초보다 짧은 시간에우주가 급속히 팽창하며 지금의
은하
와 행성들을 만들어냈다는 게 우주팽창 가설입니다. 가설이었던 이 과정이인류 역사상 처음으로사실임이 밝혀졌습니다. 우주가 급팽창할 당시 질량을 가진 물체가 빠른 속도로 퍼져나가면서 생긴 힘즉 ... ...
34년을 건너… ‘코스모스’ 美 사로잡다
동아일보
l
2014.03.11
고무시킨다”고 인사말을 했다. 타이슨 소장이 우주선을 타고 지구 궤도를 넘어
은하
계를 종횡무진 누비는 대목에선 현란한 최신 컴퓨터그래픽 기술이 활용됐다. 지구가 태양을 돈다는 지동설을 주장하다 7년 동안 옥살이를 하고 화형된 이탈리아 과학자 조르다노 브루노의 선구자적인 삶은 ... ...
올해 대형 태양흑점 폭발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9
흑점활동 최대주기 다음해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우리
은하
중심부에서 날아오는 양성자도 인공위성 고장의 주된 원인 중 하나다. 흔히 우주선(宇宙線)이라고 부르는 이 양성자는 전자보다 훨씬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부딪히면 인공위성의 피해는 막대하다. 마땅히 ... ...
우리
은하
지름이 10만광년인데 1100광년서 초신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4.03.03
연구위원은 “우리
은하
의 지름이 10만 광년인데 어떻게 1100광년 떨어진 위치에 외부
은하
와 초신성이 있겠느냐”며 “국내 언론들이 상식적으로 맞지 않는 사실을 검증도 하지 않은 채 보도했다는 점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 ...
역사와 함께 호흡한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3.02
더해준 자신의 연구 결과를 직접 설명한 책이다. 이후 많은 학자들이 실시한 외부
은하
연구의 기틀을 마련한 위대한 성과를 허블 본인에게 듣는 재미가 새롭다. 랜덤하우스코리아 제공 ◆ 하룻밤에 읽는 과학사(하시모토 히로시 著, 랜덤하우스코리아 刊) 기존 인식을 송두리째 바꿔버린 과학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