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기준
하나
단원
중량단위
중량
유니트
뉴스
"
단위
"(으)로 총 2,504건 검색되었습니다.
'의료계 제임스웹'...1만배 정밀한 MRI 세계 최초 구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2
국내 도입이 본격 추진된다. 가천대 길병원은 11.74T(테슬라, 자기장의
단위
) MRI를 개발 및 도입하기 위한 시스템 통합 설치를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올해 상반기 동물을 대상으로 실제 뇌 영상을 촬영하는 전임상시험을 실시한다. 이 기기를 활용한 전임상시험이 이뤄지는 것은 전세계에서 ... ...
4000억 투입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 사업단 신임 단장에 김한곤 원장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10일 밝혔다. 임기는 이달부터 2025년 12월까지 3년이다. 임기 종료 후 평가를 통해 3년
단위
로 연장이 가능하다.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기술개발사업’은 2030년대 세계 SMR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경쟁력을 갖춘 차세대 SMR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올해부터 6년간 총 3992억 원이 투입된다. 주요 ... ...
양자의 '기분’을 바꾸는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23.01.07
정밀한 STM 관측에 몰두하는 이유는 원자나 분자를 양자컴퓨터의 기본 연산
단위
‘큐비트(qubit)’로 이용하기 위해서다. 동시에 큐비트가 나아가야 할 길을 짚는 연구 또한 이뤄지고 있다. 장원준 연구기술원은 “양자컴퓨터는 큐비트 사이의 양자얽힘을 이용해 연산을 한다”며 “큐비트가 외부 ... ...
눈에 착용하면 치매 진단하는 인공수정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검출한다. 모아레 신호를 이용하면 하이드로겔 변화를 직접 감지하는 방식보다 나노
단위
의 고감도 변화량 감지가 가능하다. 이재종 책임연구원은 “사회적 문제가 되는 대표적인 뇌질환인 치매를 포함한 각종 신경질환을 조기 진단해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 ...
인간의 영향은 어디서부터였을까…'인류세' 세부기준 '초읽기'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얻어야 인류세가 지질시대 중 하나로 인정받을 수 있다. 이번 투표에서는 인류세의
단위
를 홀로세 같은 세(epoch)로 규정할지 더 아랫 단계인 절(age)로 규정할지를 결정한다. 또 지난해 AWG가 선정한 인류세의 '골든 스파이크' 후보 9곳 중 한 곳을 선정한다. 골든 스파이크는 지구 환경의 변화, 기준 ... ...
노도영 IBS 원장 "우주·뇌과학·기후·양자정보 연구단 확대"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필요한 기초과학의 특성을 고려해 연구단 출범 5년 뒤 첫 평가를 실시하며 이후 3년
단위
로 평가를 진행한다. 평가에 따라 연구단 연장 혹은 종료 여부가 결정된다. 노 원장은 “연구단 종료는 연구수월성 유지와 연구자 및 연구분야 환류를 위한 필수불가결한 조치이지만, 항상 마음이 무겁다”며 ... ...
[일상 속 뇌과학] 운동이 어떻게 뇌기능을 좋게 할까
2022.12.30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
단위
체 연구그룹장 ※필자소개 박형주.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
단위
체 연구그룹에서 근무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 ...
붙이기만 하면 손동작으로 글자 입력...'지능형 전자피부'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9
있었다. 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전도성 액체를 직접 피부에 분사한 후 나노미터
단위
의 전도성 그물망을 손에 자동으로 인쇄하는 새로운 방식을 적용했다. 연구팀이 새로운 방식으로 개발한 전자피부를 활용해 가상공간에서 작업 수행이 가능해졌다. 연구팀은 우선 손 위의 전도성 ... ...
반도체 공정 핵심 ‘과산화수소’ 태양광으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8
생산도 크게 늘어났다. 광촉매 소재와 유기용액을 제어할 때 태양광을 이용해
단위
시간과 광촉매 그램당 5.3%의 과산화수소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과산화수소 생산 산업 기준 최소치인 1%를 5배 이상 초과 달성한 것이다. 연구팀은 “태양광을 이용한 저탄소 친환경 기술로 산업 핵심 원료를 ... ...
양자정보기술 연구에 날개 달아줄 입자 제어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2
구축할 계획이다. 큐비트는 양자암호통신과 야자컴퓨팅에서 사용되는 기본 정보
단위
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달 국제학술지 ‘나노레터스’에 게재됐다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