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화
화합
적합
합치
동일성
화성
원
d라이브러리
"
일치
"(으)로 총 1,621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허셜이 망원경으로 천왕성을 발견하고 수십 년이 지난 뒤 천왕성의 실제 궤도가 계산과
일치
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영국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아담스와 프랑스의 수학자 르 베리에는 천왕성 궤도에 영향을 끼치는 여덟 번째 행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각자 그 가상 행성의 ... ...
위풍당당 아라온호의 남극 쇄빙시험일지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얼음의 강도를 정확히 알 수 없고, 실제로 얼음의 두께와 강도가 시험 조건과 정확하게
일치
하는 얼음은 없다. 시험이 성공했는지는 러시아 남북극연구소(AARI)가 현장에서 측정한 여러 가지 얼음의 데이터를 시험 조건에 맞게 환산한 뒤에야 알 수 있다. 이 과정은 두 달여의 시간이 걸린다.뒤로 깨고, ... ...
2010 리얼리티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영화가 아무리 리얼해도 현실과 동등하게 느껴지지 않는 이유는 감각 정보들 간에 불
일치
하는 부분이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설명했다.성균관대 이정모 교수는 “과거에 인간은 호랑이 그림자와 비슷한 것만 보고도 호랑인 줄 알고 도망쳐야 살아 남을 수 있었을 것”이라며 ... ...
내 얼굴이 홍당무처럼 빨개진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처음으로 재배했던 시점과 이 유전자에 변이가 생긴 시점이 7000년 전~1만 년 전쯤으로
일치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들은 쌀을 주식으로 삼은 아시아인에게 쌀로 빚은 술을 마시는 문화가 생기면서, 알코올의 해로움을 경고하기 위해 몸이 스스로 유전적 변이를 일으켰다고 생물의학 저널인 ‘BMC ... ...
개화유전자 FT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이동했던 것. FT가 보이는 모든 행동은 먼 거리에서 꽃을 피게 만드는 화성소의 행동과
일치
했다. 이들의 연구결과는 각종 매체에서 대서특필됐고 ‘사이언스’가 뽑은 2005년 10대 뉴스에도 들어갔다. 박사후연구원 시절, 이 논문에 제1저자로 참여했던 타오 후앙 박사는 그 뒤 중국 샤먼대에 자리를 ... ...
“주어진 환경 고려해 우수한 학생 선발할 것”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궁극적으로 고등학교에서 내신을 포함한 종합적인 평가 항목이 서울대가 평가한 항목과
일치
할 때 진정한 입학사정관제가 구현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입학사정관은 어떻게 구성돼 있는가? 입학전형실에 근무하는 입학사정관 20여 명과 입학사정관으로 위촉된 교수 약 40명으로 구성돼 있다.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근적외선 대역의 광학 스펙트럼 영역은 매질에서 전자가 전이할 때 방출하는 에너지와
일치
하기 때문이다.현재 연구단은 형광염료의 수명을 연구하고 있다. 형광염료는 세포의 활동을 알려주는 일종의 지표로 활용되는 물질이다. 보고자 하는 부위를 형광염료로 염색하고 특정 파장의 빛을 ... ...
얼굴 기억 못하는 건 조상 탓?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능력이 얼마나 서로 다른지를 조사했다. 유전적인 면에서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거의
일치
하며 이란성 쌍둥이는 50% 정도 유사하다. 얼굴을 기억하는 능력이 이란성보다 일란성 쌍둥이끼리 더 비슷하다면 유전적 영향을 받았다는 해석이 가능해진다. 과학자들은 실험에 참가한 쌍둥이들에게 서로 ... ...
호랑이, 넌 누구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박사는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카스피호랑이의 DNA를 분석한 결과 시베리아호랑이의 DNA와
일치
한다는 연구 결과를 생물학 저널 ‘플로스 바이올로지(PLoS Biology)’에 발표했다.또 지난 12월 16일에는 국립생물자원관에서 100년 된 남한호랑이 박제의 DNA를 분석해, 그동안 시베리아호랑이와 같은 아종인 ... ...
CSI 수사체험 ‘지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하는데 이렇게 뽑아낸 특징점들의 상대적인 위치, 그들 사이의 거리를 수치화해서
일치
하는 지문을 찾아내는 것이다.보통 현장에서 채취한 지문은 희미하고 불명확한 부분이 많으므로 이를 선명하게 만드는 영상처리과정이 선행된다. 간혹 어린이에서 어른으로 성장하면서 지문의 크기가 달라지지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