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치"(으)로 총 1,621건 검색되었습니다.
- 구제역 “베트남에서 온 것 아니다”과학동아 l2011년 04호
- 김 연구원은 “작년 홍콩과 러시아에서 유행한 바이러스는 이번 구제역과 유전자가 99.06% 일치한다”며 “이번 구제역이 베트남에서 왔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그는 또 “국내 여러 다른 지역에서 감염 항체를 지닌 소와 돼지가 관찰됐다는 보고가 있다”고 덧붙였다.백 교수는 “국내의 ... ...
-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는 역시 배아에서도 바로 뒤에서 발현돼 세 번째 가슴체절을 형성한다. 그러나 왜 이런 일치가 일어나는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그 뒤 안테나페디아단백질과 울트라바이소락스단백질은 서로 상대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날개가 넷 달린 돌연변이 ... ...
- 2020년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세상을 바꾼다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이 현상은 입력하는 신호의 진동주기와 이 신호를 받는 물체 고유의 진동주기가 일치하면 발생합니다. 이때 공진하는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해 사용하는 것이 무선전력전송이죠.김: 무전전력전송 방식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박: 자기 공진 방식, 전자기 유도 방식, 마이크로파 방식이 있습니다. 자기 ... ...
- 통계로 세상을 구한 나이팅게일과학동아 l2011년 02호
- 통일된 기준조차 없었다. 세 가지 기록체계가 있었는데, 기준이 각기 다르다 보니 결과도 일치하지 않았다.나이팅게일은 먼저 통계 작성기준을 세워 기록체계를 통일했다. 기준에 따라 입원, 부상, 질병, 사망 등의 내역을 매일 상세히 작성했다. 이 기록을 토대로 영국 정부에 크림전쟁의 상황을 ... ...
- 그림자도 지우는 숨기의 달인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가지를 이용하거나 잎 꼭지, 잔가지, 나무껍질, 싹, 꽃, 열매, 덩굴 등 주위 환경에 몸을 일치시킨다. 타고난 위장술의 달인, 변신의 귀재인 셈이다.애벌레들은 주변과 거의 똑같은 모습으로 변신한다(의태). 잘 알려져 있는 것이 자나방과(Geometridae)의 애벌레다. 자벌레는 우선 앞다리(가슴다리)로 ...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상점의 위치와 비교했다. 그 결과 공식을 통해 예측한 위치와 실제 위치가 거의 정확하게 일치했다. 예를 들어 사설 병원이나 학교가 어디에 있을지 공식을 이용해 구했더니 실제 위치와 거의 똑같았다(그림 ❶). 공공기관과 상점은 서로 공식이 달랐는데, 공공기관은 전체적인 사회비용을, 상점은 ...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비례해 일산화질소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EDRF의 신호와 일산화질소의 신호가 일치한다는 데이터를 얻은 것이다.그렇다면 상피세포는 도대체 무엇으로부터 일산화탄소를 만들까. 몬타나 박사팀은 꼭 1년 만에 이 비밀까지 밝히는 데 성공했다는 논문을 발표했다(1988년6월 16일자 ‘네이처’ ... ...
- 살아 있는 지질박물관, 일본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가다!전세계적으로 화산이 많은 지역인 화산대와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지진대는 거의 일치해요. 화산과 지진 모두 지각이 약하고, 지구 내부의 마그마가 움직이면서 생기는 현상이기 때문이죠.화산대와 지진대가 모두 걸쳐 있는 일본에서는 지금도 하루에 한 번씩 지진 관련 소식이 들릴 만큼 많은 ...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과학동아 l2011년 01호
- 3개월여에 걸쳐 심사위원들이 많은 토론을 거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수상자는 만장일치로 결정된다.요한손 교수는 “심사위원은 과학자 다수의 의견을 잘 읽어야 하는 ‘통역자’의 역할을 한다”면서 “이 때문에 후보자들에 대한 외부 전문가의 평가가 심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 ...
- Part 1-2. 대한민국 시계, 세계에 우뚝 서다!수학동아 l2011년 01호
- 국제협정시와 정확하게 9시간 차이를 두고 50나노초(1나노초=10억 분의 1초) 이내로 일치한다. KRISS-1은 세계에서 인정받는 ‘시계 중의 시계’로, 1차 주파수표준기로 등록된 원자시계는 현재 미국, 독일, 프랑스와 같은 선진국 몇 곳에만 있다.Tip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1초’란?1967년부터 현재까지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