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외부"(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종목4] 봅슬레이, 최첨단 ‘과학 썰매’로 金 사냥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가깝게 설계해 무게중심을 최대한 낮췄다. 무게중심이 높으면 바람과 얼음과의 마찰 등 외부에서 미치는 힘에 의해 생기는 진동이 심해지기 때문이다. 썰매의 무게중심이 낮을수록 바닥에 달라붙어 미끄러지듯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다. 또 맞바람이나 얼음 트랙과의 마찰에서 받는 힘에 따라 ... ...
- [Culture] 기계공학자의 눈으로 본 라테, 위스키 그리고 와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붓는 속도는 초속 0.2m보다 빠르게, 잔이 놓인 책상에 절대 진동이 있어서는 안 된다. 외부 열도 완벽히 차단한다. ‘라테’ 한 잔 만드는 데 뭘 그리 요란이냐고 누군가는 말할지 모른다. 하지만 그 한 잔에 담긴 의미는 결코 가볍지 않다. [라테] 밀도와 온도가 이뤄낸 층 분리 기술 2016년 미국 ... ...
- 주기율표와 화학결합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물에 잘 녹는다. 물에 녹아서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형태로 존재한다. 비교적 단단하나,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쉽게 쪼개지거나 부서진다. 그 이유는 양이온과 음이온이 서로 교차된 형태로 정전기적 인력으로 결합돼 있기때문이다. 예를 들어 NaCl은 Na+ 이온과 Cl- 이온이 오른쪽 위 그림처럼 교차돼 ... ...
- [과학뉴스] 햄버거, 피자 좋아하면 만성 염증 생긴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과립구와 단핵구와 같은 면역세포의 수가 증가한 사실을 확인했다. 면역세포는 외부 물질이 침입했을 때 그 수를 늘려 몸을 보호하는데, 면역 반응이 과도하게 일어나게 되면 알레르기 같은 염증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연구팀은 서구 식단이 골수에서 면역세포로 분화하기 전 단계인 ... ...
- [다중이용시설] 피난 약자 위한 대피공간 설계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스프링클러를 설치했다. 급기 설비를 이용해 화장실에 공기를 주입하자 내부의 압력이 외부에 비해 50파스칼(Pa) 높아지면서 연기 유입 속도가 더뎌졌다. 다음은 문 상부에 설치된 스프링클러를 작동시켰다. 수도 배관과 연결된 스프링클러에서 물이 나오면서 출입문에 수막을 형성했다. 10분 뒤, ... ...
- [Culture] ‘슈퍼 파워’ 가졌지만 저체온증 시달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어렵다. 세포 대사 활동의 결과로 발생하는 열에너지는 몸의 부피에 비례한다. 외부 기온이 체온보다 낮은 경우 몸에서 체외로 발산하는 열에너지는 몸의 표면적에 비례한다. 키 180cm인 사람이 12.7cm로 줄어들면 길이(L)는 14분의 1, 표면적(L²)은 196분의 1, 부피(L³)는 2744분의 1의 비율로 변한다. ... ...
- [Future] ‘불멸의 삶’ 한국 상륙,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자성을 가진 산화철 입자가 장기 내부에서 빠르게 돌아가면서 열을 냈다. 조직의 내외부가 모두 1분 만에 200도까지 올라갔다. 해동한 뒤 세포나 조직에는 아무런 손상이 없었다. 조직이 해동되는 과정에서 산화철 입자도 자연스럽게 밖으로 빠져나갔다. 2016년엔 포유류의 뇌를 완벽하게 얼렸다가 ... ...
- [영재교육원 탐방1]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이 캠프를 거쳐 가는 학생은 매년 300~400명에 이른다. 이 외에도 각 지역 교육청 같은 외부 기관의 의뢰를 받아 캠프를 진행하거나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기도 한다. 교육뿐 아니라 연구에도 힘쓴다KAIST 입학생의 10% 정도는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을 거친 경험이 있다. 그렇다고 해서 학생교육만 ... ...
- [Culture] 이황화결합과 가교결합, 크루아상 & 애플파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단백질 사이사이에 이황화결합(S-S)이 형성되지 못하도록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외부 열을 만나 구워지는 동안 수분이 날아가 바삭해지거나, 수분을 머금어 촉촉한 속살이 됩니다. 아무리 크루아상이 맛있어도 시간이 지나면 눅눅해지고 통통했던 몸집은 폭삭 가라앉습니다. 모락모락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집을 수 있는 손 두 개를 가진 이 로봇의 보폭은 고작 6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다. 외부의 조작이나 별도의 에너지 없이 DNA 두 가닥이 서로 결합하는 원리를 적용해 혼자 걸어 다닐 수 있다. 비록실험실 수준이지만, 원하는 물질을 찾아 들어 올려 목표한 지점에 내려놓는 임무에도 성공했다. 첸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