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외부"(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눈물로 혈당 재는 ‘스마트 렌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표시한다. LED가 켜지면 정상, 꺼지면 혈당이 높다는 의미다. 렌즈 작동을 위한 전기는 외부에서 무선 안테나를 통해 공급받는다. 연구팀이 토끼에게 스마트 렌즈를 착용시켜 실험한 결과, 눈물의 포도당 농도에 따라 LED가 점멸하면서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 ...
- 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미래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냉장고 문’에 비유했다. 문이 닫혀 있을 때는 냉기가 잘 보존되지만 열려 있을 때는 외부와 열 교환이 일어난다. 즉 해빙이 덮여 있지 않으면 열기와 수증기가 바다에서 빠져나가고, 이는 북극과 중위도를 연결하는 ‘극 소용돌이(polar vortex)’를 약화시킨다. 극지의 찬 공기가 쉽게 남하할 수 있는 ... ...
- [Origin] 비브라늄으로 무장한 슈퍼히어로, 블랙팬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탄소 원자끼리 더 많은 전자를 공유하면서 강하게 결합하고 있기 때문이다. 카바인은 또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이 변할 때 물질의 밴드갭에 변화가 생기는 독특한 특징도 가지고 있다. 때문에 반도체 등 전자기기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이 교수는 “카바인은 이제 막 연구가 시작된 흥미로운 ... ...
- [DGIST] 생체신호만 포착 세계 최고의 전자칩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신경신호 측정 성공연구팀은 회로 구동에 필요한 전압의 일부를 회로 자체에서 생성해 외부 전력을 최소화시키는 방법을 고안했다. 전자회로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해 줘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최근 학계에서는 반도체 회로 자체의 주파수 특성 등을 이용해 ... ...
- Intro. 갑작스런 화재 ‘골든타임’ 지키는 건설 기술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터널 내부의 일산화탄소(CO) 농도도 터널 내부는 60ppm(공기 1kg당 60mg의 비율)으로 높았지만 외부는 2ppm 수준이었다. 유 연구위원은 “호남~제주를 잇는 16km 해저터널 내부 구난역(Rescue Station)에 이 기술을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갑작스런 화재 ... ...
- [초고층빌딩] 불에 타도 끄떡없는 기둥 세워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프로그램을 이용해 기체 유동을 분석한 결과, 제연댐퍼를 작동시키면 전실 영역이 외부 공기와 완전히 차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층고 높은 곳엔 특수한 환기 시스템한편 초고층 건물은 백화점이나 쇼핑몰, 미술관 같은 특수한 공간을 갖춘 경우가 많다. 여러 층의 천장을 개방해서 만드는 ... ...
- 논리적 사고력, 어떻게 키울 것인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해서 몸을 튼튼하게 하면, 세상의 모든 일이 긍정적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학생 B : 외부 자극이 신체에 들어오면, 신체는 신경망을 통해 뇌에 신호를 보냅니다. 신호는 전위차에 의해 전달됩니다. 뇌는 그 전위차를 인식해 판단을 내립니다. 신체가 건강하지 못하면, 전위차가 제대로 나타나지 ... ...
- [Issue] 설마 내가 우울증? 우울증 검사 직접 받아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코티솔 분비를 억제한다”며 “우울증 환자의 체내에서는 코티솔이 과잉 분비되고 있어 외부에서 추가로 코티솔이 주입돼도 수치가 떨어지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우울증 환자의 치료 효과를 예측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며 실제 진단에서는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 ...
- [시사과학 뉴스] 긴급 제천 화재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불이 순식간에 번졌답니다. 건물의 필로티 구조 역시 화재를 키운 원인으로 꼽혀요. 외부로 노출된 1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뒤, 확 트인 사방에서 바람이 불어와 불길이 더욱 거세졌지요. 즉, 필로티 구조가 일종의 ‘아궁이’ 역할을 한 셈이에요. 2015년 큰 인명 피해가 있었던 의정부 화재 이후 6층 ... ...
- [아파트] 외벽타고 상승하는 불, 불연성 외장재가 해답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화재 현장의 위층에서 발생했다. 사망 원인은 질식사였다. 따라서 화재 시 건물 외부로 즉시 피난하기 어렵다면 아랫집 혹은 옆집으로 대피해야 한다. 1992년 이후 시공 된 3층 이상의 공동주택에는 옆집으로 통하는 경량칸막이가 있다. 경량칸막이는 9mm 가량의 석고보드로 만들어져 사고 시 부수고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