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수"(으)로 총 1,1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심리학 테라피] 영화 인셉션 과 인간의 그림자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있다. 버튼은 어디에 있는지, 주의할 사항은 무엇인지 설명서에 적혀있는 대로 하면 크게 실수할 일이 없다. 하지만 인간을 위한 사용 설명서는 어디에도 없다. 누구나 몸 하나만 가지고 태어난다. 자신이 누구인지, 어디서 왔는지, 어떻게 사용(?)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야 ... ...
- 수학울렁증을 이겨 내자!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시험만 보면 km로 구하라고 했는데 m로 답을 쓰거나, 1L가 몇 mL인지 기억하지 못해 실수를 많이 하죠. 이때는 문제를 풀고 난 뒤 문제의 맨 마지막 ‘구하려고 하는 것은?’ 부분을 한 번 더 읽어 보세요. 그러면 단위 때문에 문제를 틀리는 일은 없을 거예요.5학년 때는 처음으로 최대공약수와 ... ...
- 잘 쓰면 약이 되지만 잘못 쓰면 독이 되는 통계수학동아 l2010년 09호
- 선생님은 통계의 이런 특성을 잘못 이용하는 경우가 있대. 통계 자료를 잘못 이해하거나 실수로 생긴 오류와 나쁜 의도로 통계의 단점을 이용하는 경우지.둘 모두 피해를 줄 수 있는 만큼 통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해. 여기서는 선생님이 알려준 통계를 잘못 이용한 예를 소개할게.대표적인 ... ...
- 과학으로 피어나는 모나리자 코드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뛰어난 화가면서 해부학에도 조예가 깊었던 다빈치가 유일하게 모나리자를 그릴 때에만 실수를 저질렀을까, 아님 일부러 불균형하게 그렸던 것일까. 조 교수는 “모나리자가 실존 인물을 그린 초상화가 아니라 다빈치가 오랫동안 얼굴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들을 모두 모아놓은 연구물이기 ... ...
- 4 포트폴리오 만들기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생긴 일화를 인물 중심으로 소개하고 있는 책이다. 수학자들의 이기적이고 비겁한 모습, 실수투성이인 모습들도 보여준다. 이것을 통해 수학은 딱딱하고 재미없는 학문이 아니라 수학 역시도 사람이 만들어낸 것 중 하나라는 것을 느끼게 한다. 표시한 페이지에서는 피타고라스에게 무리수의 발견이 ... ...
- 앵무새의 정리수학동아 l2010년 08호
- 나타낼 수 있는 수로 교과서에서 볼 수 있는 정수와 분수가 모두 포함됩니다. 실수와 허수의 합으로 나타낸 수를 복소수라고 합니다. 복소수는 보통 학생들이 고등학교 때까지 배울 수 있는 가장 큰 수 체계입니다. 상상하기도 어려운 수를 도대체 왜 만들었을까요? 복소수는 수학뿐만 아니라 ... ...
- 수학자 올림픽의 꽃, 필즈상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주인공은 풀 조지프 코헨. 그는 힐베르트의 1번 문제, 정수 집합보다 원소의 개수가 많고 실수 집합보다는 원소의 개수가 적은 집합은 없다는 연속체 가설 문제를 지금까지 알려진 공리로는 증명할 수 없음을 증명해 1966년에 상을 받았어.8월 19일부터 열리는 인도국제수학자대회에선 어떤 수학자가 ... ...
- 나의 경험이 세상을 설계한다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수신하는 등 긴급한 상황에서 조종사의 실수가 잦았다. 인간공학자들은 점차 사람이 실수할 확률을 고려하지 않은 시스템은 디자인이 잘못된 시스템이라는 사실을 지각하기 시작했다.이런 이유 때문에 인간공학에서 발전한 디자인공학은 사용자에게 안전과 편리, 만족을 주는 제품과 시스템을 ... ...
- 뾰로롱! 신데렐라와 함께히는 과학연극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 관객들이 보이나요? 가슴이 정말 두근거려요. 그래도 저는 우리가 실수 없이 잘 할 수 있을 거라고 믿어요. 마지막 연습 때 제법 잘 했거든요. 하지만 사실 처음부터 이렇게 잘 할 수 있었던 건 아니에요. 처음 대본을 받았을 때를 생각하면…. 오, 맙소사! 우리 얘기 한번 들어 ... ...
- 전송 오류를 잡아라과학동아 l2010년 08호
- 11)=4이다. (나) 집합 S에 대해 정의된 거리함수 d는 S×S={(a, b) a∈S, b∈S}를 정의역으로 하고 실수의 집합을 공역으로 하며 다음의 네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다. (a) d(x, y)≥0 (b) d(x, y)=0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x=y이다. (c) d(x, y)=d(y, x) (d) d(x, y)+d(y, z)≥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