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잘못
과실
실책
실패
과오
실례
착오
d라이브러리
"
실수
"(으)로 총 1,139건 검색되었습니다.
제1게임 먼저 두는 사람이 유리한 오목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먼저 시작한 흑이 33이 되면 백이 이기게 돼 있습니다. 이런 규칙 없이 게임을 하면 흑이
실수
하지 않는 한 이기기 때문이죠. 무적수라고 해서 상황마다 흑이 무조건 이기는 방법도 알려져 있습니다. 세계오목챔피언 안도메리티는 흑이 이기는 방법이 훨씬 많다는 연구를 발표한 바 있고요. 이처럼 ... ...
캐나다, 선배가 수학 도우미로 나선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쪽지시험을 볼 때도 계산기를 가져오지 않은 학생에게는 계산기를 빌려 준다. 계산
실수
로 문제를 틀린 적이 있는 한국 학생이 매우 억울해 할 일이다. 물론 기본적인 계산 능력은 필요하다. 캐나다 학생은 계산기를 써서 소수점을 계산하는 데는 익숙하지만 계산기를 쓸 수 없는 분수 계산이나 ... ...
제3게임 수학으로 두는 체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위해 D6 자리에 둡니다. 앗! 이로써 무승부가 되는 군요. 이 상황에서는 두 선수가
실수
하지 않는 한 어떤 선수도 이기는 방법이 없다고 밝혀져 있어 무승부가 됩니다.체스에서는 무승부 상황이 종종 일어나는데요. 말이 없어 체크메이트를 부르지 못하는 경우, 쫓고 피하기를 계속해서 반복해 승부가 ... ...
바르바리 해적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터키가 아닌 튀니지에 도착한 ‘경성 최고의 지식인’ 과 도형.“사람이 살다 보면
실수
할 수도 있지. 쳇!”“그럼요, 기왕 떠나는 건데 안 가본 곳으로 가는 게 좋죠. 걱정 마세요.”“그나저나 케밥, 미네네 케밥이…. 와~, 튀니지에도 케밥이 있구나!”튀니지 항구의 케밥 가게에서 일단 식사를 ... ...
칭찬 보다 비난이 더 신경쓰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못했느냐’는 비난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앞뒤 말을 자르고 얘기를 꺼낸 필자의
실수
도 있지만 사람들이 칭찬보다 비난이나 비판의 내색(실제로 그런 것도 아니었지만)에 얼마나 예민한지 다시 한번 깨닫게 됐다.‘마음먹기’의 힘 사회적 존재로서 우리는 다른 사람의 인정과 사랑을 필요로 한다. ... ...
모의평가와 EBS 꼼꼼히 분석해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올해 생물 문제의 난이도는 9월 모의평가와 비슷하게 출제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대한
실수
를 줄일 수 있도록 남은 기간 동안 꼼꼼하게 공부하고 기본적인 개념정리를 더욱 더 충실히 해야 한다. 과학탐구영역 - 지구과학 천문 분야에 주목하라 지구과학 또한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를 이해해야만 ... ...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아닌 플라스틱으로 만든 가위. 무게가 가벼워 자르기 쉽고,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실수
로 몸에 날이 닿아도상처가 크지 않다. 안전펌프가위노란 지렛대 장치는 적은 힘으로도 쉽게 종이를 자를 수 있게 하고, 움직이는 가윗날의 각도를 좁혀 손가락이 끼어 다치는 사고 위험을 줄여 준다. 가방이 ... ...
야구는 통계다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아웃시킬 수 있다. 하지만 투수가 공을 던지는 동작을 크게 하거나 포수가 조금이라도
실수
하면 도루를 허용하고 만다. 더구나 주자는 1루에 붙어 있지 않고 2루 쪽으로 몇 걸음 다가서 있다. 이 차이 때문에 발이 빠른 주자의 도루성공률은 70%를 훌쩍 넘는다.*4사구 : 볼넷과 몸에 맞는 공을 합쳐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사실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매수당해 친구의 커피에 독약을 타 살해하려고 한 사람이
실수
로 진짜 설탕을 타 살해기도가 무산되는 장면을 봤다고 하자.이 경우 독살을 실행하지 않았더라도 친구를 죽이려고 한 사람을 살인자 버금가게 죄질이 나쁘다고 생각하는 게 인지상정이다. 그런데 ... ...
별의 죽음을 밝혀 낸 과학자 찬드라세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일한 적이 있었다. 일을 시작한 지 일주일이 됐을 때 찬드라세카는 실험기기를 깨뜨리는
실수
를 저질렀다. 이 일을 계기로 실험보다는 이론에 집중하기 시작했다.20세가 되던 해인 1930년 6월에는 대학 졸업과 동시에 케임브리지대로 유학을 떠나 랄프 파울러 교수의 지도를 받았다. 대학원에 입학한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