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형"(으)로 총 1,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이 꽃할배 만든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게임을 개발했다. 이 게임은 조이스틱으로 자동차를 조종하면서 길을 운전하다가, 특정 도형(파란 원)이 화면에 나오면 오른손으로 맞추는 게임이었다. 단순하지만 게임을 하는 사람의 인지능력을 측정할 수 있게 설계했다.연구팀은 두 가지를 실험했다. 먼저 20대에서 7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 ...
- 제 4 회 국립과천과학관 온라인수학게임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있으니 그만큼 유리하겠지!6 5개 영역을 완수하라! 수학게임은 연산, 측정, 확률과 통계, 도형, 비와 비율 이렇게 5개 영역으로 나뉘어 있어. 차례로 5개 영역을 완료해야 하므로 모두 잘하도록 실력을 키워야 해.아~, 헷갈리우스가 헷갈리나에게 자신의 보물을 주고 알아낸 비법이 그만 ... ...
- 신화의 세계를 구하라! 퍼시 잭슨과 괴물의 바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그어 보자. 어떠한 점을 잡아도 닫힌 곡선과 만나는 점(●)의 개수는 홀수 개다.이번에는 도형의 안과 안, 밖과 밖에 임의의 두 점을 잡아 직선을 그어 보자. 이 직선이 닫힌 곡선과 만나는 점의 개수는 언제나 짝수 개가 나온다. 미로를 만났을 때 출발점에서 도착점까지 직선을 그어 홀수 개의 점이 ... ...
- [수학실험실] 수학으로 빛나는 다이아몬드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09호
- 다이아몬드를 위에서 내려다보면, 정팔각형을 기준으로 삼각형과 사각형 등 다양한 도형으로 구성돼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2에서는 조금 더 쉽게 만들기 위해 정삼각형과 마름모로 구성된 다이아몬드를 만들었지만, 사실은 실험1에서 살펴봤던 것처럼 모두 정삼각형과 마름모 형태는 아니다 ... ...
- 젊은이 부럽지 않은 꽃할배의 비밀은?과학동아 l2013년 09호
- ②언어 기억(얼마나 많은 단어를 찾아내는지) ③계산능력 ④공간 정향(뒤집어 놓은 도형을 빨리 찾아내는지) ⑤지각속도(모니터에 표시된 특정한 그림을 보고 스위치를 얼마나 빨리 누르는지) ⑥귀납적 추리(제시된 문제와 비슷한 논리문제를 얼마나 잘 풀어내는지) 등 여섯 가지 능력이 나이에 ...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다르다. 유전자가 담겨있는 게놈도 개인별로 다르지만, DNA는 길게 이어진 선으로 1차원 도형인데다 4개의 염기만으로 이뤄져 있어 단순하다. 어느 자리에 어떤 부호(염기)가 서로 다른지만 비교하면 된다. 하지만 뇌는 3차원이다. 그래서 ‘빅브레인’처럼 한 명의 뇌를 이용해 지도를 만들었다고 ... ...
- 한가위 보름달은 수학으로 뜬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곡선으로 이뤄진 구적문제를 생각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한 수학자가 곡선으로 된 도형 중 구적이 가능한 것을 찾았는데, 그가 바로 히포크라테스다. 당시 수학자들은 히포크라테스가 구적 가능한 초승달을 찾아내자, 최대 난제였던 ‘원의 구적문제’에도 희망이 보인다고 믿었다.그러나 구적 ... ...
- 수학으로 다시 태어난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수학동아 l2013년 08호
- 1880년에 개발했다.포팸 장군이 개발한 깃발 신호는 다음과 같다. 색과 모양이 다른 도형 10개가 그려진 깃발이 0~9까지의 숫자와 10가지 알파벳 철자를 의미하고, 3개의 깃발이 메시지의 시작과 끝, 그리고 대체함을 의미한다. 나머지 숫자와 알파벳 철자 등은 이 깃발들을 조합해서 만드는데, 깃발을 세 ... ...
- 8화 뫼비우스의 공간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긴 직사각형 종이를 180° 꼬아서 끝을 붙여서 만들었잖아. 경계가 하나밖에 없는 2차원 도형! 앞과 뒷면이 서로 연결돼 있으니, 아무리 걸어도 이 길은 영원히 끝나지 않아.”폴의 말에 메비우스 공작이 박수를 치며 말했다.“바보인 줄 알았더니 생각보다 머리가 좀 돌아가는군요. 하지만 이곳이 ... ...
- 퍼즐로 놀았더니 수학 점수가 쑥!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실력에는 영향을 주지만, 공간지각력 자체를 키워 주지는 않는 것이다.믹스 교수는 “도형을 회전하는 연습이 산수에 도움을 주는 이유는, 만 6세~8세의 발달 단계 특성상 숫자 계산을 할 때 머릿속에서 물건을 옮기는 등의 상상을 하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이라며, “어떤 형태나 공간을 쉽게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