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뉴스
"
큰
"(으)로 총 14,645건 검색되었습니다.
감전 사고로 눈에 별이 생겼다
팝뉴스
l
2020.06.27
제공 최근 해외 SNS에서
큰
화제가 된 사진이다. “번개를 맞은 사람의 눈”이라는 설명과 함께 사진은 빠르게 유포되며 이목을 끌었다. 그런데 사진은 낙뢰 사고가 아니라 감전 사고의 결과를 보여준다. 미국의 한 전기공 왼쪽 어깨를 타고 고전압 전류가 몸으로 흘러들어갔고 눈에 별 모양의 ... ...
[주말N수학]대서양알락돌고래는 왜 고래 중 가장 날쌜까
수학동아
l
2020.06.27
나아가는 과정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하지만 최대한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면서
큰
추진력을 내는 비밀은 바로 고래의 꼬리 지느러미에 있다. 자세히 보면 고래마다 조금씩 다른 모양이다. 비행기의 날개 역할하는 고래의 꼬리 지느러미 키스 무어드 미국 리하이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현실적인 인생관이 진정한 자존감을 만든다
2020.06.27
원망하게 된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었다. 하지만 조금만 생각해보면, 세상과 신이 나에게
큰
빚을 진 것도 아닌데 유독 나만 편애할 이유가 있을까? 심리학자 크리스틴 네프의 연구에 의하면 인간으로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부족함을 받아들이고 삶과 자기 자신에게 겸손한 기대를 할 줄 ... ...
[애니멀리포트]호랑이를 길들이지 못하는 세 가지 이유
과학동아
l
2020.06.27
문제는 이런 호랑이들의 사육 환경이다. 호랑이는 고양잇과 중 크기가 가장 크며(가장
큰
아무르 호랑이는 몸길이가 평균 194cm), 하루에 최대 60km를 이동한다. 호랑이의 활동 영역은 500~4000km2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동물원은 이보다 훨씬 좁다. 타이거 킹의 무대인 G.W. 동물원은 전체 면적이 0.065km ... ...
내년 정부 과학기술 R&D 예산 21.6조…올해보다 9.7% 더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6
김 본부장은 올해 예산에 대해 “과학기술 R&D가 처음으로 20조 원이 넘어간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올해 정부 R&D 규모는 24조 2000억 원이나 이중 경제 및 인문 R&D를 뺀 과학기술 R&D 규모는 19조 7000억 원이었다. 지난해보다 1조 9000억 원에 가까운 예산이 늘어났다. 김 본부장은 “2조 원에 ... ...
"자외선C 실내 코로나19 바이러스 제거에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0.06.26
불리는 222nm 파장대의 UVC에 주목했다. 일반적으로 파장이 짧아질수록 인체에 더
큰
피해를 주지만 이 파장의 원자외선은 눈의 눈물막이나 피부 각질층을 통과할 수 없어 피부나 눈에 손상을 줄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에어로졸 상태로 실내 공기 중에 떠 있는 계절성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열역학과 엔트로피
2020.06.25
학계에 영향력이 크지 않았던 볼츠만은 분자론에 대한 주류 학계의 부정적인 태도에
큰
좌절을 느꼈다. 원자와 분자의 존재에 쐐기를 박은 것은 1905년의 아인슈타인이었다. 돌턴이 근대적인 원자론을 들고 나온 지 거의 100년이 지난 시점이다. 1906년 볼츠만은 가족들과 함께 이탈리아 북부의 작은 ... ...
코로나19감염자 100만명 넘은 지 80일만에 900만명…WHO "내주 1000만명 넘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만이다. WHO는 특히 중남미 지역의 경우 코로나19 확산세가 정점에 이르지 못했다며 더
큰
증가세를 예상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24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WHO 본부에서 열린 화상 언론 브리핑에서 “전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다음 주면 1000만명에 달할 ... ...
'무거운 중성자별일까 가벼운 블랙홀일까' 중력파로 미지의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별 최후에 남는 별 중성자별과 블랙홀 중성자별과 블랙홀은 질량이 태양보다 10~29배
큰
별이 수명이 끝난 뒤 형성하는 천체다. 이들은 초신성 폭발 등 물질을 흩뿌리며 최후를 맞는데, 이후 중심부의 핵만 남아 자체 중력에 의해 수축하는 과정을 겪는다. 이 때 핵의 질량이 대략 태양의 2.2~2.5배 ... ...
UNIST·삼성전자, 전기 적게 쓰고 정보처리 속도 빠른 반도체용 소재 내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소자 크기를 줄이고 정보처리 속도도 높이려면 절연체의 유전율을 낮추는 일이 가장
큰
과제가 될 것이라고 꼽는다. 유전율이란 부도체에 전기장을 가했을 때 전하가 얼마나 편극화해서 나타나는지 표현하는 척도다. 미국 반도체산업협회가 2015년 발간한 국제반도체기술로드맵(ITRS)에 따르면 ... ...
이전
610
611
612
613
614
615
616
617
6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