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다음다음"(으)로 총 6,2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조선왕조의 치부를 그대로 드러낸 王동아사이언스 l2013.07.14
- 홍살문과 정자각 - 이종호 박사 제공 제12대 중종(1488~1544)의 능인 정릉은 비공개지역인데다 다소 떨어진 곳에 있으므로 선릉과는 달리 사람들의 방문이 많지 않아 고요한 곳에 위치한다. 그러나 능역의 경계를 벗어나면 강남 중심부답게 주위가 매우 번화하여 묘한 대비를 이룬다. 중종은 조선 ... ...
- [채널A] ‘아리랑 5호’ 발사대 도착…흐린 날도 선명히 본다채널A l2013.07.12
- [앵커멘트] 아리랑 5호 위성이 발사 준비에 들어갔습니다. 칠흑같은 밤이나 구름이 가득낀 날에도 한반도 구석 구석을 선명하게 살펴볼 수 있는데요. 그 새로운 성능을 이현경 과학 전문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우리나라의 네 번째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 5호가 조금 전 러시아 발사장에 ... ...
- 세계서 가장 얇은 풀HD LCD 패널, LGD서 선보여동아일보 l2013.07.12
- [동아일보] LG디스플레이가 세계에서 가장 얇고, 테두리도 가장 좁은 스마트폰용 풀HD 액정표시장치(LCD) 패널(사진)을 공개했다. LG디스플레이는 두께 2.2mm, 베젤(테두리) 2.3mm의 5.2인치 풀HD IPS-LCD 패널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같은 크기의 스마트폰이라도 베젤이 좁으면 화면이 커지고, 두께가 ... ...
- 원전 한울 5호기 재가동동아일보 l2013.07.12
- [동아일보] 원자력발전소 한울 5호기가 재가동에 들어감에 따라 폭염으로 가중됐던 전력난이 다음 주부터 다소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5일 기기 이상으로 발전을 멈췄던 한울 5호기의 발전 정지 원인 조사와 안전검사를 마치고 재가동을 승인했다고 11일 밝혔다. 원안위는 “ ... ...
- '이것' 흉내내니 방수기능 '대단하네~'동아사이언스 l2013.07.11
- 물에 젖지 않으면서 물방울이 흘러내리지 않는 생이가래 잎 표면을 모방한 방수코팅막이 개발됐다. 포스텍 화학공학과 김동표 교수팀은 머리카락 모양의 탄소 나노섬유로 생이가래 잎 표면을 모방한 초소수성 코팅막을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대표적인 수생식물인 생이가래 잎 ... ...
- "과학은 인기영합하지 않고 무소의 뿔처럼 앞만 보고 가는 것"동아사이언스 l2013.07.11
- ‘형만한 아우 없다’는 말이 있다. 동생보다는 형이 이런 저런 경험이 많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동생이 날고 뛰어봐야 부처님 손바닥 안이란 말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은 1965년 5월 18일 ‘한국의 공업기술 및 응용과학연구소 설립’에 관한 박정희 대통령과 린든 존슨 대통령의 공동 ... ...
- “내년부터 본교-분교 통합… 제2건학 이끌겠다”동아일보 l2013.07.11
- [동아일보] 명문대 밑그림 그리는 단국대 장호성 총장 《 보일 듯 말 듯 희미한 미소에 조용한 말투. 장맛비가 내리는 10일 경기 용인시 단국대 총장실에서 장호성 총장을 마주한 순간 대화를 어떻게 풀어가야 할지 막막했다. 평소 언론 인터뷰를 잘 안 하기로 알려져 어렵게 느껴졌는지도 모른다. ... ...
- 1만 명에 가까운 인력이 동원된 왕릉 조성사업동아사이언스 l2013.07.10
- 선릉의 기신제 - 이종호 박사 제공 온릉을 설명하면서 기신제에 대해 설명했지만 각 릉마다 매년 제향일을 정하여 에서 봉향을 주도한다. 기신제는 일반적으로 한밤중(새벽 1시부터 2시)에 거행했는데 현재는 낮 12시를 중심으로 봉행한다. 매년 성종릉은 2월 4일, 정현왕 ... ...
- 세계적 석학들 척척 모시는 KAIST 동아리동아일보 l2013.07.10
- [동아일보] ■ 9년째 국제학생회의 여는 ‘ICISTS-KAIST’ ‘도널드 노먼 미국 애플사 전 부사장, 고 이종욱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 사이보그 인류학자 앰버 케이스,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로플린 박사, 한국 인터넷의 아버지라 불리는 전길남 일본 게이오 주쿠대학 부총장, 한승수 전 ... ...
- 유난히 수난을 많이 겪은 왕릉동아사이언스 l2013.07.09
- 선릉의 석물과 능침 - 이종호 박사 제공 성종의 봉분에는 십이지신상이 새겨진 병풍석과 난간석이 있다. 성종의 왕릉이 특이한 것은 세조가 ‘석실이 유해무익하니 원?능은 석실과 병풍석을 세우지 말라’는 유지에 따라 석실은 만들지 않았음에도 병풍석을 세웠다는 점이다. 병풍석의 면석(面石 ... ...
이전6106116126136146156166176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