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화학"(으)로 총 5,4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혈관을 순환하며, 림프구 중에서는 가장 크다.자연살해세포는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화학물질에 의해 활성화된 뒤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암세포)를 인식한다. 이후 세포독성 T림프구처럼 퍼포린과 그랜자임 단백질을 차례로 분사해 세포막과 세포질을 해체하는 방식으로 감염된 ... ...
- 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열에 강한 항체와 함께 병원체를 죽이는 열에 약한 성분을 발견한 것이다. 이후 독일의 화학자 에두아르드 부흐너는 이 성분을 ‘알렉신(alexin)’이라 명명했고, 오늘날에는 ‘보체(complement)’라고 불린다. 보체는 병원체가 침투하기 전부터 체내에 존재하며, 항체-항원 복합체와 연쇄 반응을 일으켜 ... ...
- 1972년 항체의 구조, Y를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연구 중이던 에델먼은 1959년 ‘감마글로불린의 분리’라는 제목의 논문을 미국화학회에서 발표하며 항체가 이황화결합으로 이뤄져 있다는 사실을 전 세계에 알렸다. 또 그는 10년 뒤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한 논문에서 항체가 알파벳 대문자 ‘Y’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도 ... ...
- [이달의 과학사] 금보다 비쌌다고? 알루미늄 제련법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 방법을 발견한 사람은 찰스 마틴 홀 뿐만이 아니었어요. 거의 비슷한 시기, 프랑스의 화학자 폴 루이 투생 에루도 독자적으로 알루미늄 전기분해법을 발견했지요. 누가 먼저 전기분해법을 발견했느냐를 두고 다툼이 있었지만 홀은 미국에서, 에루는 유럽에서 특허를 인정받기로 합니다. 그 결과 ...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논의를 진행했다. 논의 끝에 결론 내린 생물의 정의는 ‘다윈의 진화론을 따르는 자립형 화학 시스템(A self-sustaining chemical system capable of Darwinian evolution)’이었다. 이는 물체가 분자구조를 이루고 있고, 이 구조는 자발적으로 형성되며, 물질대사나 생식 등을 조절할 수 있고, 자연선택에 ...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는 배양횟수를 제한해 안전성을 확보한다.사백신은 바이러스에 포르말린 같은 화학물질을 처리하거나, 배양 환경의 온도 등을 조절해 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킨다. 안전성만 놓고 보면 생백신보다 훨씬 점수가 높다.세포전체 백신의 대표적인 예는 인플루엔자 백신이다. 일반적으로 비강용 ... ...
-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원하는 단백질을 생성하게 만들기 위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하지만 핵산은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물론 핵산 백신에도 단점은 있다.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효과가 다른 백신보다 상대적으로 낮다. 세포전체 백신과 단백질 백신은 항원을 직접 주입하는 데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아닌, 1987년 FDA 승인을 받은 아지도티미딘(AZT· Azidothymidine)이다. 아지도티미딘은 미국의 화학자 제롬 호로비츠가 1964년 백혈병 치료제로 처음 개발했다. 아지도티미딘도 스타부딘과 유사한 티미딘 유사체로 암세포의 DNA 합성을 저해하는 기능이 있었다. 1986년 미국의 제약회사 버로우즈-웰컴(현재 ... ...
- [인터뷰] 호기심의 최전선을 꿈꾼다, 최재경 제8대 고등과학원장수학동아 l2020년 06호
- 관한 연구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철사로 만든 도형을 비눗물에 담근 뒤 꺼내면 비누의 화학적 성질 때문에 면적을 최소로 하는 모양을 만드는데, 이 원리를 수학적으로 해석하는 연구입니다. 최소 면적, 최소 부피가 되는 모양을 찾는 연구다 보니 건축에서 활용되죠. 실제로 중국 베이징 올림픽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6호
- TiO2)이라는 화학물질이 있습니다. 이 물질은 빛을 받으면 촉매가 돼 화학반응을 돕습니다. 이런 촉매를 광촉매라고 부릅니다. 광촉매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산업적 활용 가치가 높은 일산화탄소와 산소로 바꾸면 어떨까요. 효율까지 높다면 금상첨화겠죠. 실제로 이런 광촉매가 개발됐습니다.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