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d라이브러리
"
화학
"(으)로 총 5,446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월 1290억개 마스크 쓰레기, 어떻게 처리할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발전소 전기 생산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포름산으로 전환한 것이다. 플라스틱과
화학
물질을 혼합한 용액에 인공 태양광을 쪼이면 분해되는 원리를 이용했는데, 실험결과 플라스틱이 단 6일 만에 모두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doi: 10.1002/advs.20190202 ... ...
[2020 노벨상] 얼마나 걸릴까, 궁극의 질문에서 노벨상 수상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나오기 시작한 1978년 이후 울프상 수상자의 약 30%는 노벨과학상까지 획득했다. 올해 노벨
화학
상 수상자인 샤르팡티에 교수와 다우드나 교수도 2020년 1월 의학 부문 울프상을 받았다.한편 과학자들의 피인용률을 통해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예측하려는 시도도 있다. 글로벌 학술 정보 기업 ... ...
[내가 만난 노벨상 수상자] 끊임없이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질문을 풀어내는 과정에서 큰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필자소개이호영. 서울대
화학
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고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박테리아를 이용한 천연물 합성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2008~2013년 제니퍼 다우드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 연구실에서 ... ...
[질문하면 대답해 ZOOM] 우주에서는 음식이 썩지 않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신맛, 감칠맛을 느낄 수 있답니다.치약에는 거품을 내는 라우릴황산나트륨(SLS)이라는
화학
물질이 있어요. 양치를 한 직후 과일을 먹으면 입안에 남아 있는 라우릴황산나트륨이 맛을 느끼는 데 영향을 줘요. 단맛을 받아들이는 수용체를 둔화시켜 상대적으로 신맛과 쓴맛이 두드러지도록 하지요.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펜타곤이 연 새로운 세계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취급당했다. 연구실의 명예를 실추시킨다며, 소속 연구실에서 쫓겨났을뿐더러 노벨
화학
상과 노벨 평화상을 받은 라이너스 폴링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교수로부터 “준결정은 없고 준과학자만 있다”는 비판을 듣기도 했다.위기에 빠진 셰흐트만 교수에게 힘을 실어준 것은 ‘펜로즈 타일’이었다. ... ...
세상에 단 하나뿐인 주기율표를 만들어보자!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경험이 있다면 이번 기회를 통해 주기율표를 마음껏 재창조해보세요. 대한
화학
회와 한국
화학
연구원이 과학동아와 함께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대회’를 개최합니다.자신만의 기준을 사용해 원소를 분류하고 각 원소의 특징을 자유롭게 표현해보세요. 복잡하고 화려하지 않아도 자신만의 개성을 ... ...
Science Festival│ SF가 그린 디스토피아? 두려워 말고 준비하세요!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미사일 같은 무기는 특수한 공장에서도 만들기 쉽지 않은데, 바이러스 같은 생
화학
물질은 그에 비하면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유전자 편집을 비롯한 생명공학 기술이 저렴하고 손쉽게 다룰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기도 합니다.가령 누군가가 나쁜 마음을 먹고 조류인플루엔자에 걸린 닭의 ... ...
추석 모듬전, 고소한 맛의 비결은?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분해되고, 두 물질은 여러 종류의 반응을 거쳐 1000여 가지의 향을 만들어낸다. 프랑스의
화학
자 루이스 카밀 마이야르가 처음 발견해 ‘마이야르(Maillard) 반응’이라고 부른다. 마이야르 반응으로 만들어진 대표적인 부산물은 전 겉면을 노릇하게 만드는 갈색 풍미 물질 ‘멜라노이딘(Melanoidine)’이다 ... ...
기발한 연료 3총사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교수는 8월 19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논평을 실으며 “새로운
화학
물질이나 인공근육과 같이 초소형 로봇을 움직일 수 있는 기술을 찾아야 한다”며 “메탄올을 활용한 로비틀은 이를 위한 좋은 사례”라고 평가했다. doi: 10.1126/scirobotics.abd7338 ... ...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4중나선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유전자와 세포의 조절 작용을 명확하게 밝힐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김경규 서울대
화학
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에서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2000년부터 성균관대 의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Z형 DNA 등 이형핵산에 대한 연구를 20여 년간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