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패스
합격
허가
투과
가결
통행
성취
d라이브러리
"
통과
"(으)로 총 2,93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이 빚은 조각 보석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대칭을 고려하면 광물을 총 230개로 분류할 수 있다고 밝혔지요.결정축★ 결정의 중심을
통과
하는 가상의 선. 이 선을 기준으로 결정을 360° 회전시켰을 때 처음 모양과 2번 이상 겹쳐야 한다. 쌩얼이 빛나는 비결TV 프로그램을 보면 종종 ‘원석을 발견했다’, ‘예능 원석을 찾았다’고 합니다. 아직 ... ...
Part 1. 웰컴 투 매스잼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신호를 무시하고 제멋대로 운전하기 시작했다. 그러던 어느 날 재벌 2세 모제스가 시내를
통과
해 시청에 간다는 소문이 퍼졌다. 평소 모제스와 사이가 좋지 않았던 경찰 서장은 이번 기회에 범칙금을 제대로 뜯어내리라 마음을 먹고 신호위반을 하는지 꼼꼼히 살폈다. 그런데 모제스는 한 번도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세계로. 그곳에서 우리가 아는 인간으로 남기 위해서.”“그 정미나 손님도 그 과정을
통과
하셨지요. 그리고 그런 도망이 피곤하고 무의미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셨습니다. 그렇게 살아서는 안 되니까요. 올바름을 추구하고 그에 대한 의지를 세상에 남기지 않을 거라면 우리의 존재가 무슨 의미가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찌개 달인 ‘ 다너코 끄리숑’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숑. 하지만 비법을 배우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자질 테스트를
통과
해야 하숑. 자, 저 바구니에서 이 찌개에 필요 없는 재료를 골라내숑!” 썰렁홈즈가 필요 없는 재료를 잘 골라내고 고개를 들자, 어느새 ‘다너코 끄리숑’은 칠판을 가져다 놓고 막 무언가를 쓰고 있었다. ... ...
[Issue]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택한다. 우리가 사용할 입자는 0.5mm와 0.1mm 사이의 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0.1mm 체를
통과
한 작은 입자와 0.5mm체 위에 남은 큰 입자들은 버려도 좋다.채집한 입자는 현미경 관찰 전에 입자표면의 또 다른 작은 먼지들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을 해야 한다. 물보다는 알콜로 세척해서 표면의 불순물을 ... ...
[Future] 국내 최고 높이, 롯데월드타워는 바람에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주로 건물의 안전성 검사를 한다. 좀 더 규모가 큰 1층 실험실에서는 특정 지역에 바람이
통과
하는 길을 확인하거나, 유해 물질이 어떻게 퍼져나가는지를 관찰하는 실험 등 다양한 연구를 한다. 이 날은 경기도 고양시 삼송동에 위치한 한 아파트 단지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있었다. 실제 아파트 ... ...
Part 1. 겨울철, 초미세먼지가 위험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4호
미세먼지보다 훨씬 입자가 작기 때문에 몸속으로 깊숙이 파고들 수 있어요. 세포벽을
통과
해 세포 속 기관이나 핵과도 반응을 일으킬 정도지요. 또한 같은 양이라도 미세먼지에 비해 개수도 많고 표면적도 커요. 그럼 인체 기관과도 더 많이 반응을 일으켜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답니다.▼관련기사를 ... ...
Part 4. 보이지 않는 살인자, 라돈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이유는 바로 방사성 붕괴 때문이에요. 방사성 붕괴 과정에서 나온 에너지가 인체를
통과
하며 피부나 장기 조직을 변형시키고 돌연변이를 일으키거든요.자연에는 40여 종의 방사성 물질이 있어요. 그런데 왜 라돈이 특히 위험할까요? 그건 라돈이 기체이기 때문이에요.라돈은 기체라 토양 위에 지어진 ... ...
[과학뉴스] 우주선 폭발 막는 광섬유 신경망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복합재료 안에 광섬유를 매설했다. 만약 충격으로 재료 내부가 손상되면 광섬유를
통과
하는 빛이 바뀐다. 센서로 이를 검출하면 정확한 손상 위치와 정도를 알아낼 수 있다. 권 책임연구원은 “사람의 신경망이 통증과 온도를 감지하는 것처럼 복합재료의 광섬유가 인공 신경망처럼 손상을 감지하는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빠르게 가야할지를 인지하는 세포들이 있다. 먼저 미로를
통과
하거나 낭떠러지를 만났을 때처럼 경계를 인식하는 ‘경계세포’가 내후각피질 중심부에 위치한다. 방향을 알려주는 ‘방향지시세포’는 내후각피질은 물론 시상을 포함한 다양한 부위에 넓게 퍼져 있다. 201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