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체험 유랑단] 영암의 테셀레이션 의상실을 찾다!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수 있습니다. 알람브라는 네덜란드 화가이자 판화가 ‘마우리츠 코르넬리스 에셔’에게
큰
영향을 끼치기도 했어요. 인터넷에서 알람브라의 사진을 찾아보며 오늘 배운 테셀레이션 무늬를 찾아보세요. 앞에서 정규 테셀레이션을 배웠는데, 두 가지 이상의 정다각형을 사용해 만드는 ‘준정규 ... ...
[이달의 뉴스]줄기세포로 만든 적혈구 사람에 최초 수혈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대량 생산해 수혈할 수 있다면 겸상 적혈구 빈혈증과 같은 혈액 질환이 있는 환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또 줄기세포를 통해 배양한 적혈구는 생산일자가 같아서 남은 수명이 각기 다른 기증 혈액보다 수혈을 적게 해도 된다. 이에 따라 잦은 수혈로 발생하는 합병증도 줄일 수 있다.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영장류 세계에도 ‘공짜 배움’은 없다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달린 나무에서 작은 형 산하와 많은 시간을 보내며 형을 관찰했다. 작은 형 다음으로는
큰
형, 엄마, 아빠와 시간을 보냈다. S 가족은 다른 가족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형제들끼리 놀이 시간도 자주 가지는 것처럼 보였다. 형제 관계가 매우 돈독하다는 증거였다. 이처럼 사회적 일부일처제를 유지하고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배아 착상을 모방하다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생활하던 것과 똑같이 생존하고 생활할 수 있을까요? 우리가 인간임은 변하지 않지만
큰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며 우리의 행동과 사고는 지구에서의 그것과는 엄청나게 달라질 겁니다. 배아줄기세포도 마찬가지입니다. 체외배양 환경에서도 스스로 복제 가능하고 모든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2호
클수록 관성의 크기는 커집니다. 멈춰 있는 탁구공과 볼링공을 움직이려면 질량이 더
큰
볼링공을 미는 데에 더 많은 힘이 필요해요. 움직이는 탁구공과 볼링공을 멈출 때도 볼링공을 막을 때 더 힘이 많이 들고요. 질량이 클수록 운동 상태를 바꾸는 것이 어려운 거죠 ... ...
[Data math] 케첩 짤 때 팍 튀지 않게 하는 방법은?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감소하면서 액체가 팍 터져나가지요. 커틀 연구원은 “우리가 쓰는 케첩 통의 가장
큰
문제는 주둥이의 고무 밸브”라며, “고무 밸브는 케첩 통을 짤 때 내부 압력을 증가시켜 케첩이 튀는 문제를 악화시킨다”고 말했어요. 이 밸브는 케첩을 새지 않게 해주지만, 오로지 케첩이 튀는 현상을 봤을 ... ...
[Space Math] 세밀한 제어 기술로 승부한다! 우주발사체 기업들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자동차는 문제가 생기면 길 위에 서 있으면 되고, 배는 물 위에 떠 있으면 된다. 그러나 비행기는 하늘에서 문제가 생기면 언제든 추락할 수 있어
큰
일이다. 그래서 어렵다.’ 항 ... 그때마다 비난과 질책이 아니라 그저 조용히 지켜보며 응원해주는 것이 개척자들에게
큰
힘이 된다 ... ...
최정담이 말하는 최-정-담, 공부만 잘하는 사람이고 싶지 않아!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생각한다. 이런 면을 널리 알리고 싶다. 내가 앞으로 무엇이 될지는 모르겠다. 다만
큰
방향은 있다. 지금처럼 학문의 가치를 세상에 널리 알릴 건데, 그게 세상에 이바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할 것이다. 수단은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 ... ...
[특집] GPT-4의 4가지 가능성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사람들이 선택하게 하는 것이다. 서 교수는 “RLHF가 AI모델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은 현재 일반적으로 알려진 지식”이라고 설명했다.실제 RLHF를 사용해 훈련된 챗GPT에게 오류가 난 코드를 보여주며 어떻게 고칠 수 있냐는 질문을 하면 “이것이 전체 코드인지 아니면 ... ...
[뉴스&인터뷰] 화석 없이 200만 년 전 그린란드를 복원하다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수 있다면 앞으로 지구 온난화로 멸종 위기에 처할지도 모르는 식물들을 보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키에르 교수팀의 연구는 카프 쾨벤하운 층의 퇴적물을 분석하여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풍경을 들여다보는 작은 창을 열었다. 이 창을 통해 보이는 광경은 200만 년 전 과거 따뜻했던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