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차례
등급
등위
단계
순위
순차
d라이브러리
"
서열
"(으)로 총 705건 검색되었습니다.
Ⅲ 이제는 포스트게놈 시대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대한 연구 결과들이 더해지면서 ‘정보의 해일’이 밀려들고 있다.지난 10년간 염기
서열
하나를 결정하는데 드는 비용이 1백분의 1로 줄었다. 마치 반도체 가격 하락과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엄청난 양의 정보를 만들어낼 수 있다. 결국 엄청난 데이터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2 수도원에 뿌려진 작은 씨앗에서 피어난 신기원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DNA의 유전정보를 mRNA가 단백질의 합성장소인 리보솜에 전달하며, 여기서 mRNA의 염기
서열
이 단백질로 번역된다고 주장했다.1966년 미국의 생물학자 코빈드 코라나와 마샬 니런버그에 의해 DNA의 유전부호가 각각 뜻하는 아미노산이 밝혀졌다. 한편 같은해 DNA가 염색체뿐만 아니라 미토콘드리아에도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4 다국적팀과 셀레라의 팽팽한 '신경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데이터의 0.14%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전체 염기를 30억개로 볼 때 4백20만개의 염기
서열
이 다르다는 의미다. 이대실박사는 “얼핏 생각하면 별 차이가 없다고 볼 수도 있지만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유전자 부위의 염기가 전체의 1.1%에 집약돼 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차이”라며 ... ...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염기
서열
의 변이 등에 대한 정보의 축적이 필수적이라는 얘기다. 우리 게놈상의 염기
서열
변이 중 기능적으로 중요성을 지니는 부위를 찾는 작업은 향후 과학자들에게 주요 도전과제로 남아 있다. 물론 SNP 지도가 작성되더라도 모든 인간이 혜택을 누리지는 못할 지도 모른다. 중요한 문제는 각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1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공시킨 주인공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완성을 발표한 두 주체. 바로 다국적팀과 셀레라다. 다국적팀과 셀레라를 직접 이끌면서 인간게놈지도를 완성한 주인공 ... edu)1999년 3월부터 화이트헤드 생의학 연구소, 워싱턴대 게놈 센터와 협력 관계를 맺고 대규모 염기
서열
을 정리해 왔다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위에 μg(1μg=${10}^{-6}$g) 단위의 시료를 넣어주면 DNA의 정보를 알려주는 마이크로 DNA 염기
서열
분석기를 보자. 10여년 전부터 많은 연구자들이 개발에 뛰어들었지만 아직까지는 별다른 진전이 없다. DNA를 추출하고 반응시약을 넣고 DNA를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작업을 하려면 현미경 수준에서 액체를 ... ...
2. 20대 박사 양성하는 과학영재교육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제1고등중학교 사이에도 편입이 이뤄진다는 점이다. 이것은 여러 제1고등중학교 사이에
서열
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평양의 경우 보통의 고등중학교 위에 각 행정구역마다의 제1고등중학교, 그리고 그 위에는 다시 만경대, 모란봉, 창덕제1고등중학교, 그리고 제일 위에는 평양제1고등중학교로 ... ...
가상식물 창조하는 2010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다행히 이중 약 60%의 유전자는 박테리아나 동·식물의 유전자와 부분적으로 유사한 염기
서열
을 가지고 있어, 그 기능을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 기능이 전혀 짐작되지 않는 수수께끼 같은 유전자가 약 40% 정도가 남는다.모든 유전자의 기능을 분석·확인하려는 시도가 바로 ... ...
② 국내 연구진 벼·배추·고추에 주력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각광을 받고 있는 DNA칩 및 단백질을 연구하는 피로테오믹스 분야도 결국은 유전자의 염기
서열
을 확보하지 못하면 아무 소용이 없다.기초연구가 튼튼하지 못하면 특히 게놈연구는 불가능하다.그러나 이러한 게놈연구는 당장 산업적 결과나 경제적 효과는 없는 반면,엄청난 연구비와 인력의 지원이 ... ...
60억 세계인 먹거리 해결사 식물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간직한 채 우리 주변에 묵묵히 서있는 식물.식물은 지구생태계에서 유일한 생산자다.올해 말이면 식물의 염기
서열
을 해독하는 식물게놈프로젝트의 첫 결과가 발표된다.식물이 간직한 유전비밀을 밝혀 60억 세계인의 식량난을 해결하는 식물게놈프로젝트의 현재와 미래를 탐색하자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