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응"(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뉴스] ‘실내조명’으로 충전되는 배터리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리튬이차전지’를 더한 형태예요.염료감응 전지는 빛에 반응하는 염료가 빛 에너지를 흡수해 전기를 만들어요. 기존의 염료감응 전지는 밝기 변화에 민감한 탓에 일정하게 전기를 생산하기 어려워 축전지에 전기를 저장했어요. 하지만 이 축전지는 저장용량이 적어 실제 ... ...
- [특집] 빠져나와야 짜릿하다! 방 탈출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첫 정기모임을 기념하기 위해 파티룸을 빌려 만든 ‘키드냅M’이에요. 팀원들의 반응이 좋아서 두 번째로 ‘기로’라는 테마를 기획했고, 팀원뿐 아니라 외부 3팀에게도 공개했어요. 그때 이 테마를 좋게 봐주신 다른 기획자분께서 정식으로 방 탈출 카페의 테마를 기획해보면 어떻겠냐고 ... ...
- 손난로 유니버스, 최강자를 가려보자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열이 발생합니다. 이 원리를 이용해, 과탄산소듐 속 과산화수소를 채소 속 카탈레이스와 반응시켜 손난로를 만드는거죠! 채소를 갈면 카탈레이스를 더 많이 얻을 수 있습니다. 여러 채소 중에서도 강판에 좀 더 쉽게 갈 수 있는 고구마, 당근, 무, 감자를 준비해 봤습니다. 자, 이제 강판에 간 채소와 ... ...
-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다. 1g의 중수소와 삼중수소는 핵융합 반응을 통해 시간당 약 10만kW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중수소 100kg과 삼중수소 150kg으로 전기를 만들면 화력발전소에서 300만t(톤)의 석탄을 태우는 것과 비슷한 수준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원자력발전소와 ... ...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건설된 발전소를 더 오래, 안전하게 활용하게 하는 기술도 뒷받침돼야 한다. 핵융합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극한의 조건을 유지해야 하는 실험로 내부는 사람의 접근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내부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문제가 생긴 경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사 역할을 로봇이 대신해야 한다 ... ...
- [특집] 직접 만들면 전율! 미궁 게임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난센스 퀴즈와 수학 문제를 섞어 냈다. 학생들의 반응은 생각보다 뜨거웠다. 채팅창에 질문이 계속 쏟아져 송 선생님이 답변하기 어려울 정도였다고 한다. 평소 질문이 없던 학생들도 적극적으로 질문하는 모습을 보였다. 미궁 게임을 사용해 진행한 첫 온라인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지수로 보는 블랙핑크의 상승세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정도로 ‘THE ALBUM’은 전체적으로 완성도가 높다. 타이틀 외에도 ‘WAP’로 파격적인 반응을 얻은 미국 래퍼 카디 비가 참여한 ‘Bet You Wanna’ , 미국 배우이자 가수인 셀레나 고메즈가 참여한 ‘Ice Cream’ , 들을 때마다 무릎 꿇고 충성하고 싶어지는 ‘Pretty Savage’ 등 앨범을 통으로 듣지 않으면 ... ...
- 과학동아 12월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반응으로 태양계 전체를 먹여 살릴 에너지를 만들어 내듯, ITER의 최종 목표는 핵융합 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핵융합 발전소 건설입니다. 핵융합 에너지는 이산화탄소 같은 온실가스를 배출하지도, 원자력 발전소에서 나오는 위험한 방사성 폐기물을 생성하지도 않기 때문입니다. 핵융합 ... ...
- 꿈의 에너지 현실이 되다, 핵융합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들어갔기 때문이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은 ITER 공동연구를 통해 국내에 핵융합 반응으로 전기 생산을 실증하는 시설인 핵융합실증로(DEMO·데모)를 건설할 계획이다. 화석연료를 대신해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그날까지, 핵융합 에너지의 상용화를 위한 노력과 남은 여정을 살펴봤다. ▼ ... ...
- 50년 인류 최대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중수소와 삼중수소가 고온 플라스마 상태에서 스스로 연소하도록 하는, 즉 핵융합 반응을 지속적으로 일으키는 기술을 검증할 계획이다. ITER가 완공되면 우리나라를 비롯한 7개 회원국의 연구진이 ITER에 파견돼 실험을 수행하며 핵융합 연소장치의 다양한 운전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후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