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뉴스
"
논문
"(으)로 총 6,520건 검색되었습니다.
[2014 국정감사] “국내 연구수준 선진 7개국에 비해 크게 뒤떨어진다”
2014.10.13
동아일보 제공 우리나라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투자는 세계 1위로 올라서면서
논문
숫자 등 가시적 성과가 크게 늘어나고 있지만 막 ... 시스템이 관행으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라며 “실패를 용인하는 연구문화, 특허와
논문
중심 평가제도 등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꾸미고 드디어 2005년 ‘네이처’에 해마 옆 내후각피질에서 발견한 격자세포에 대한
논문
을 싣게 된다. 기사를 보면 남편 에드바르드는 계산과 이론에 능하고 아내 마이브리트 모세르는 실험과 실험실 운영을 주로 맡았다고 한다. 서로의 장점을 조합해 시너지를 낸 결과가 노벨상수상으로 이어진 ... ...
[2014 국정감사]만들어 놓고 나 몰라라…암울한 한국뇌연구원 활성화
2014.10.13
해외 학술지에서 발표되는 각종
논문
을 살펴보면 뇌의 비밀을 밝히는 연구가 ‘핫이슈’라는 사실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 중 어디에서도 한국뇌연구원 소속 저자의 이름은 찾아보기 힘들다. 생긴지 2년 밖에 안 된 것을 감안하면 당장 뛰어난 연구 결과를 기대할 수는 없지만 ... ...
[2014 노벨 과학상-인연] 존 오키프 교수와 나
2014.10.08
교수는 흔쾌히 수락해줬다. 70세에 가까운 나이에도 불구하고, 아직 풋내기였던 나의
논문
을 꼼꼼하게 살펴보며 예리한 질문들을 던지던 모습이 아직도 눈앞에 선하다. 특히 감명 깊었던 점은, 어쩌면 자신의 이론에 반대되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었던 나의 실험 결과에 대해서도 열린 마음으로 ... ...
[2014 노벨 생리의학상] ‘뇌 속 GPS’ 발견한 뇌 신경과학자들 수상
2014.10.07
때 작동하는 방식으로 현재 위치를 인지할 수 있게 해준다. 오키프 교수에게 박사
논문
을 심사 받은 곽지현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는 “오키프 교수의 발견으로 해마가 기억뿐 아니라 장소 정보를 처리한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됐다”고 설명했다. 2014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마이브리트 모세르 ... ...
헉! 전자기파 쪼이니 체세포가 줄기세포 되네
2014.10.06
너무 까다로워져
논문
을 싣기까지 1년 6개월 이상 걸렸다”고 털어놓았다. 연구결과가
논문
에 게재되기까지는 평균 6개월 정도가 소요된다. 그는 “이전까지 의료목적으로 쓰이던 전자기파가 세포내 유전자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 알아낸 점과 발암 가능성이 있는 유전자를 제외하고 줄기세포를 ...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좋아 학술지 ‘식품화학’ 최신호에는 사과의 다이어트 효과를 다른 관점에서 조명한
논문
이 실렸다. 즉 포만감 대비 칼로리가 낮은 게 이유라는 기존 열역학적 관점이 아니라 장내미생물의 조성에 영향을 주는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역할에 주목한 것. 프리바이오틱스는 장내유익균의 먹이가 ... ...
[사이언스 브리핑]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0월 수상자 발표 외
2014.10.01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흡수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M&A를 지양해야 한다는 주제로
논문
을 발표했다. 김종만 교수 - 한국연구재단 제공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은 김종만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를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0월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1일 밝혔다. 김종만 교수는 ... ...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미끄러지는 이유
2014.09.29
훨씬 미끄러운 상태가 된다. 참고로 설원에서 스키를 탈 때 마찰계수는 0.04 정도다.
논문
에는 사람이 걸을 때 바닥에 가해지는 힘을 분석한 내용도 있는데 꽤 흥미롭다. 즉 우리가 발을 내디딜 때 보통 15도 정도 기울어져(θ=15°, 수직선 기준) 힘이 가해진다고 한다. 따라서 수직성분의 힘은 Fcosθ, ... ...
톰슨로이터, 노벨과학상 수상후보 한국 과학자 첫 지목
2014.09.26
92년 과학저널 네이처에 소개한 인물이다. 메조다공성물질은 1970년대 처음 발견됐지만 이
논문
이 발표되기 전까지 미지의 물질로 남아있었다. 유 단장은 여기에 ‘실용성’이라는 날개를 달았다. 메조다공성물질의 구멍 크기를 키우고 다양화해 활용도를 높인 것이다. 실리카(이산화규소)로만 ... ...
이전
605
606
607
608
609
610
611
612
6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