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의 눈 피라미드부터 크롭 서클까지 미스터리의 장(場)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Out of Place Artififacts)라고 부른다.고생대 지층에서 사람의 발에 밟힌 삼엽충 모양의 화석이
발견
되고 중생대 백악기 지층에서 순도 100%의 철로 만들어진 망치가 발굴됐다는 것이다. 현대과학자의 눈으로 보면 이들의 주장이 허무맹랑해 보이지만, 이들은 탄소 반감기를 이용해 연대를 측정하는 ... ...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바꾸어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는 거야. 나의 생체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발견
하면 내가 맞는지, 또 내가 누구인지 알아 낼 수 있단다.그렇다면 컴퓨터는 어떻게 생체정보의 특징을 찾아 내는 걸까? 가장 많이 쓰이는 지문과 홍채의 생체정보를 찾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자.소용돌이를 ... ...
한겨울에 곤충 보러 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전시할 예정이래. 나비의 날개를 자세히 관찰하다 비늘이 아주 촘촘하게 붙어 있는 걸
발견
했어. 이게 바로 나비의 날개에 숨어 있는 비밀이지! 비늘은 나비의 날개가 물에 젖지 않도록 해 준대. 실제로 나비의 날개에 물방울을 떨어뜨려 보면 물방울이 흡수되지 않고 또르르르~ 굴러가. 즉 나비는 ... ...
기네스북에 오른 괴물 포켓나이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걸쳐 A H 슈터트밴트가
발견
하여 명명했으며 식물에서는 33년에 G W 비들이 옥수수에서
발견
했다 이 인자는 실은 역위(逆位)이며, 그 존재가 재구성(再構成)을 감소시키고 또 설사 세포학적인 재구성이 일어나도 유전학적인 재구성이 효율적으로 억제된다 수혈할 때 환자의 혈액과 혈액 제공자의 ... ...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그에게 잠시 연구에서 벗어나 세상을 바라보게 해 주는 나무 그늘과도 같다. 과학적
발견
을 이끄는 창조성과 상상력은 바로 이 여유에서 나온다.“제 몸에서는 뜨거운 생물학자의 피가 흐르고 있나봅니다. 다시 한 번 생물학과 음악 사이에서 선택을 한다고 해도 공부를 할 겁니다. 그리고 음악도 ... ...
양성자 있어야 변비 안 걸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배설하는 도중 장 세포에서 주변 근육세포로 양성자가 대량으로 뿜어져 나오는 현상을
발견
했다. 또 배설을 제대로 못하는 돌연변이 기생충의 장 세포 주변을 관찰했더니 정상 기생충과 달리 장 세포에서 양성자를 방출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돌연변이 기생충의 장 세포와 근육 세포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교수는“나무의 나이테로는 수천 년 전의 계절 변화를 짐작할 수 있고, 호수와 습지에서
발견
한 꽃가루화석, 빙하코어로는 수십만 년 전의 기후까지 복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해저퇴적물의 경우 수백만 년 전의 기록을 담고 있을 만큼 ‘기억력’이 좋다.안교수는“과거의 기후 정보를 얻기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행복을 느낄 때 뇌의 대뇌피질 중 좌측 앞부분, 즉 왼쪽 전두엽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그런데 이 부분의 활성화는 개인 기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평소 많이 우는 아이는 이 부분의 활동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개월 된 아기들의 외향성을 조사한 뒤 11살이 됐을 때 다시 조사한 결과 ... ...
한반도 수호천사 COMS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빛을 흡수하는 정도(흡광도)를 이용하면 부유물과 구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적조를 일으키는 식물플랑크톤의 색소인 클로로필은 440~680nm(나노미터, 1nm=${10}^{-9}$m) 파장의 청색 빛을 가장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진한 초콜릿 빛을 띤다. 반면 광물질과 생물의 사체 같은 부유물은 모든 파장의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속으로 들어오는 미생물이 인체에 유해한지 여부를 검사한다. 그리고 유해한 미생물을
발견
하면 곧 면역작용을 개시한다. 그러나 면역 체계가 약하면 인식기능도 떨어지고 미생물을 인식하더라도 전달기능이 약해져 병에 걸릴 수 있다. 오 단장은 “면역 관련 단백질 가운데 한 개만 잘못돼도 ... ...
이전
603
604
605
606
607
608
609
610
6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