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버섯과 곤충의 각별한 인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1000년부터 기원전 200년까지 왕과 제후의 무덤 안에서는 동충하초처럼 만든 옥돌도
발견
됐다. 왕과 제후가 죽은 다음 다시 부활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이를 함께 묻은 것이라고 기록돼 있다. 또 진시황이나 양귀비 역시 동충하초를 오랫동안 먹었다고 알려져 왔으며, 중국의 의약서 ‘증류본초’(108 ... ...
당뇨병과 간질병이 '사랑'받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십자가, 직선 모양의 문신이
발견
됐고, 기원전 2000년 경 이집트의 미라에서도 문신이
발견
됐다. 문신은 종교적 상징이나 충성의 표시, 단체의 아이콘 등으로 사용된 인류의 보편적인 문화 행위였다.하지만 문신을 새길 때 명심해야할 점이 있다. 한번 몸에 문신을 새기면 쉽게 지울 수 없다는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보내 염이 암모니아를 흡수하고 점차 액체화하여 암모니아 냄새가 나는 무색 액체
발견
자의 이름을 따서 다이버스용액이라고 한다 등축정계(等輔晶系)에 속하는 광물 탄소의 결정체(結晶體)로서 화학성분은 C이며, 탄소 외에 주요 불순물로 최대 02%의 질소와 20ppm의 알루미늄을 함유한다 금강석 ... ...
PART1 고물 휴대전화 속 보물지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애플은 아이폰에서 신경계 질환을 유발하고 환경호르몬을 배출하는 화학물질이
발견
되면서 체면을 구겼다. 지난해 휴대용 게임기를 100만 대 넘게 판매한 닌텐도는 0점을 맞으며 친환경 기업의 이미지와는 아득히 멀어졌다.요람에서 무덤까지 평생을 책임진다한번 생산한 전자제품을 ‘요람에서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교재들은 대부분 이 논문이 제안한 용어와 분류체계를 적용하고 있다.한편 고세균
발견
은 생명진화의 잃어버린 고리를 찾은 것으로 비유되기도 한다. 진정세균과 진핵생물은 공통점이 너무 적어 둘을 연결하는 생명의 진화 가설을 세우기 어려웠다. 그런데 원핵생물이면서도 진핵생물의 특징이 더 ... ...
한강에 모인 새 박사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얻은 기록과 자료가 모이면 한강 전체의 야생조류분포도가 완성된다. 이번 조사에서
발견
된 조류는 흰비오리, 민물가마우지, 털발말똥가리, 댕기물떼새 등 모두 93종 6만 665개체에 이른다.야생조류연구회 회원들은 수많은 오리중에서도 입꼬리가 올라가 비열하게 웃는 것처럼 보이는 청둥오리를 ... ...
질환 단백질의 입체구조에 맞는 열쇠 찾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을 모두 휩쓴 연구분야가 바로 MRI와 NMR의 기반인 자기공명(MR) 분야다. 자기공명의 원리를
발견
한 기초연구부터 MRI와 NMR을 개발한 응용연구까지 노벨상을 싹쓸이했다. 첨단장비를 개발하고 연구하면서 학문적으로 의미 있는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기초연 자기공명연구단(바이오-MR 전문연구사업단 ... ...
우리은하 향해 돌진하는 거대한 가스구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존재하는 거대한 수소가스 덩어리로 1963년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게일 스미스가 처음
발견
했다. 천문학자들은 스미스구름이 우리은하나 이웃 은하가 탄생할 때 떨어져 나왔으며 태양 같은 별 수백만 개를 만들 수 있을 만큼의 수소를 갖고 있다고 추측했다. 그러나 그동안 이 구름의 정확한 크기나 ... ...
해충 바퀴가 해충 제거에 유용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파먹는 파밤나방의 애벌레를 줄였다. 게다가 이 바퀴는 콩 농장에서 1m3당 100마리 이상
발견
될 정도로 많았으나 콩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다.그는 “아시아바퀴가 밭에서는 유용하지만 집 안으로 들어오면 문제라 해충을 없애는 데 바로 도입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앞으로 농약 대신 ... ...
건축가 달팽이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방향이 3번 바뀐 달팽이 껍데기가 최고 기록이었다.연구팀이 처음 이 달팽이 껍데기를
발견
했을 때는 돌연변이일 거라 예상했지만 38개의 똑같은 껍데기를 잇달아 찾아낼 수 있었다. 왜 이렇게 복잡한 구조의 껍데기를 만들었을까. 클레먼츠 박사는 “달팽이가 물에 빠져 허우적댈 때 몸을 띄우는 데 ... ...
이전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6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