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CD-ROM, 이렇게 움직인다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음향 등을 출력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CD-I는 오락, 교육, 정보, 검색, 홍보 등 넓은 분야에 걸쳐 활용되고 있다. 인간을 만족시킨 저장장치CD-ROM에 정보를 저장하는 원리는 디스크, 테이프와 마찬가지로 디지털의 원리에 기초해 있다. 그렇다면 디지털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그것은 세계에 ... ...
- 하수오물에서 건축자재 뽑아낸다과학동아 l1994년 02호
- 기계장치제작사인 (주)쓰키시마기계. 근착 '우탄'지에 따르면 화학기계를 응용한 환경분야의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이 기업은 하수오물을 태운 재에서 타일이나 보도블럭의 원료가 되는 결정화유리를 만들어냈다. '메트로클리스타'라 이름붙여진 결정화유리는 처치곤란한 오물을 이용, 건축자재를 ... ...
- 물질과 결합 핵융합의 수백배 에너지 방출하는 반물질(反物質)의 실체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에 입사시키면서 전자(물질)와 충동함에 따라 방사광(감마선)을 만들어내는 것이다.어느 분야의 기초과학 연구도 '떡고물'은 존재한다. 생명의 신비를 밝히려는 유전자연구가 과학수사에도 활용되듯이 반물질을 연구하다 보면 많은 부수적 활용이 기대된다. 반물질 연구의 대표적 떡고물은 PET(positron ... ...
- 살찌는 식품·살빠지는 식품 믿어도 좋은가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식품도 그렇지만 살이 찐다는 식품들의 가격도 만만치 않다. 이에 대해 송교수는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지만 '몸을 상대로 하는 민간약'들이 대체로 너무 비싸다"고 지적한다.이같은 약이나 보조식품을 찾는 노력을 통해 보기좋은 외모와 건강을 얻으려하기 보다는 쉽게 건강을 사려는 '게으른 사람' ... ...
- 1. 누가 뉴턴의 세계에 돌을 던졌나과학동아 l1994년 01호
- 수식으로만 장식되고 매우 세분화된 영역으로 분리되기 직전의 수학자다. 그는 수학의 전분야에 걸쳐 간섭하고 섭렵했다. 5살 때 디프테리아를 앓아 몸이 약간 불편했던 그는 겉으로 보기는 먼산을 멍하게 바라보는 공상가 타입이었지만 그의 학문적 연구활동은 여느 정열적인 정치가 못지 않았다.1 ... ...
- 20조 예산들여 발트해 정화계획과학동아 l1994년 01호
- 1993년부터 2012년까지 약 20년간 총액 1백80억ECU(약 20조)를 들여 발트해의 수질을 정화하는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이 프로젝트에는 발트해 연안 9개국뿐 아니라 발트해로 ... 처리시설을 건설하는 것뿐 아니라 환경대책연구, 법률정비, 국민에 대한 교육 등 6개 분야에 걸쳐 사업이 진행된다 ... ...
- PART.2 멀티미디어 첨단 기술에 관심집중과학동아 l1994년 01호
- DSP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영역은 아니지만 멀티미디어 활용 분야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 현재 각종 입력 장치로 입력한 정지 화상과 동(動) 화상 자료, 사운드 효과 자료, 사운드 트랙 등을 모은 CD-ROM 제품들이 밀물처럼 쏟아지고 있다. 또 사용자가 직접 멀티미디어 ... ...
- 3. 로봇제작·기상예측·통신암호화 등 각분야에서 연구 활발과학동아 l1994년 01호
- 로봇의 제어, 레이저의 출력 향상, 화상압축 및 복원, 화상인식 및 영상처리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려는 연구가 병행되고 있다.최근 국내에서도 혼돈이론을 이용한 세탁기, 탁상전등 등 몇몇 가전제품들이 선보이고 있지만 외국에 비해 양적 질적으로 초보적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 ...
- 유·무선 단점보완한 레이저통신과학동아 l1994년 01호
- "레이저통신기술은 마이크로파의 20년 전 상황과 비슷하다"고 말하고 "국내에서 빨리 이 분야에 눈을 돌려 초기에 기술을 도입해야 쉽게 기술이전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레이저통신은 일본전신전화(NTT)와 소니가 연구단계에 있고 국내에서는 아직 한군데도 설치된 사례가 없을 뿐 아니라 이 ... ...
- 포항공대, 20억 전자볼트급 선형가속기 완성과학동아 l1994년 01호
- 강도가 세며 밀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따라서 재료공학 생물공학 물리 화학 전자공학 분야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방사광가속기는 DNA나 단백질 구조를 규명함으로써 난치병 치료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신소재 개발, 2백56MD램 이상이 초고밀도 집적회로 제작 등에 쓰일 예정이다 ... ...
이전6026036046056066076086096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