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미래"(으)로 총 7,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자체 연구기관도 연구소기업 설립 가능2016.08.16
- 제1호 연구소기업으로 선정돼 현재 시가총액 9700억 원대 기업으로 성장했다. 배재웅 미래부 연구성과혁신정책관은 “이번 시행령 개정으로 지역기반 연구 성과의 사업화가 보다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 ...
- 선수 유전자 통째로 바꾸는 ‘유전자 도핑’ 가능할까2016.08.12
- 최근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제3세대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를 표현한 상상도. - 위키미디어 제공 2013년 세상을 떠난 핀란드 스키선수 에로 멘튀란타는 특이한 유전자를 갖고 태어났다. 그는 적혈구를 만드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어 남들보다 몸속에 산소를 1.5배나 많이 보유할 수 있었다. ... ...
- 12세 한국계 천재 소년 ‘제레미 슐러 ’ 미 명문 코넬대 공대 입학!2016.08.11
- 반항을 해 볼대로 다 해봤고 미래에 대한 확신과 내 능력에 대한 신뢰가 확고하기 때문에 미래에 대한 불안과 자기 자신에 대한 불확신이 외부에 대한 반항으로 표현되는 그런 사춘기는 겪지 않을 거니 걱정 말라”고 했다는 말을 전했다. 슐러 군에게 같은 또래 아이들처럼 학교에 가고 싶지는 ... ...
- AI개발 집중투자… 10년내 선진국 기술수준 따라잡는다2016.08.11
- 10일 정부는 인공지능, 가상·증강현실, 자율주행차 등 집중적으로 육성할 9개 분야를 '국가전략 프로젝트'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 한국기원 제공 정부가 8년 내에 인간의 도움이 필요 없는 완전 자율주행차를 만들고, 10년 내에 인간처럼 사고하는 인공지능(AI)을 개발키로 했다. 정부는 10일 ... ...
- 게임했는데, 공부가 된다는 '게이미피케이션', 진짜일까? 2016.08.10
- 교수와 김서준 노리(Knowre) 부대표가 각각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과 '노리가 만드는 미래의 수학 교실'이라는 주제로 발표했고, 김상균 강원대 교수가 게이미피케이션의 발전 방향에 대해 함께 의견을 나누는 토론을 이끌었다. 한편, 동아사이언스 어린이과학동아는 지난 1일부터 ... ...
- 30만 명이 사망한 ‘난징 대학살’을 기억하나요?2016.08.09
- ※편집자주: ‘피스&그린보트’는 한국의 환경재단과 일본의 비정부기구(NGO)인 피스보트가 함께 주최하는 환경과 평화, 공존을 위한 아주 특별한 여행입니다. 2005년 광복 ... 그리고 기념관 한 쪽 벽면에 적혀있는 메시지를 중얼거리며 읽었다. “과거를 잊지 말고 미래의 스승으로 삼자" ... ...
- “어른이 된 해바라기는 동쪽만 바라본다”동아사이언스 l2016.08.07
- 양자 컴퓨터는 기존 컴퓨터의 정보 처리 속도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미래 컴퓨터로 꼽히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안된 양자 컴퓨터는 제한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 뿐 프로그램을 변경해 사용할 수 없었다. 뎁나드 교수팀은 하드웨어를 바꾸지 않고도 여러 가지 서로 다른 ...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당신의 정자에 투표하세요”2016.08.07
- ‘제3회 사이언스 나이트 라이브(SNL)’. 제 20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행사의 하나로 미래창조과학부가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 주관, 주한영국문화원 후원으로 열렸다. 이날 공연은 클럽처럼 어두운 공간에 형형색색의 조명이 돌아가고 관람객들은 선 채로 칵테일을 마시며 쇼를 보는, ... ...
- “한국, 폭염으로 2030년대 GDP 10억 달러 손실”2016.08.07
- 기후 특성과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에서 공개한 전 지구 기후변화 자료를 바탕으로 미래의 체감온도를 계산했다. 여기에 세계은행에서 발표한 체감온도별 노동생산성 자료를 결합해 국가별 국내총생산(GDP) 손실액을 추정했다. 연구를 이끈 토드 젤스트롬 보건환경국제트러스트(HEIT) 연구소장은 ... ...
- 알파고와 중력파가 던지는 미래 질문들 과학동아 l2016.08.06
- 집중 분석했다. ‘퓨처 클래스(Future Class)’에서도 중력파, 후성유전학, 화성 탐사 등 미래 기술이 우리 삶을 어떻게 바꿀지 살펴봤다. 이날 행사는 김경진 한국뇌연구원 원장의 기조강연으로 첫 포문을 열었다. 뇌과학자인 김 원장이 던진 질문은 뇌과학과 인공지능의 관계다. 김 원장은 “뇌의 ... ...
이전6016026036046056066076086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