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래
앞날
내세
차후
뒷날
내일
싹수
뉴스
"
미래
"(으)로 총 7,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언제쯤이면 재미 있는 중국 영화를 볼 수 있을까?
2016.09.09
과연 어느 정도 수준일까? 과연 중국의 드라마와 영화 같은 영상콘텐츠들도
미래
어느 시점에 가서는 까다로운 한국인의 선택을 받아 ‘별에서 온 그대’나 ‘태양의 후예’와 같은 대박 작품이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일까? 사실 현재로서는 이런 날이 쉽게 올 것 같지는 않다는 것이 대체적인 ... ...
과학이 삶에 봉사하는 방식에 대해: ‘과학적 삶의 양식’에 대한 소고 ①
2016.09.09
했다. 한 신문의 과학기자가 제보하지 않았다면 묻히고 말았을 일이다. 논란이 거세지자
미래
부는 프로젝트의 위원회를 전부 싹 갈아 버렸지만, 과학기술 연구의 핵심인 정책결정과정에 사이비과학자가 참여하고 있다는 점은 통탄스러운 일이다. 이런 심각한 문제들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한국 ... ...
‘힉스 팩토리’ 등 슈퍼급 입자가속기 개발 각축
2016.09.09
가장 앞선 곳은 역시 유럽이다. CERN은 2025년부터 둘레 약 100km로 LHC의 3배가 넘는 ‘
미래
원형가속기(FCC·Future Circular Collider)’ 건설을 시작할 계획이다. 2035년부터 2040년 사이에 가동을 시작할 예정으로 기존 LHC보다 충돌 에너지가 7배가량 크다. 힉스 입자를 대량으로 만들 것으로 기대돼 ‘힉스 ... ...
[이달의 사물] 도핑
과학동아
l
2016.09.08
전부 교체하는 건 불가능하지만, 특정 근육만 도핑하는 식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미래
에는 도핑 여부를 적발하기 위해 유전자 검사까지 해야할지도 모르겠습니다 ... ...
빛으로 암치료하는 ‘광역학치료’ 부작용 없앴다
2016.09.07
빛으로 암세포를 치료하는 ‘광감작제’의 부작용을 해결할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나건 가톨릭대 생명공학과 교수팀은 김동현 미국 노스웨스턴의대 교 ... 게재됐다. 가톨릭대 나건 교수팀이 개발한 스마트 광각제는 온도로 조절이 가능해 부작용이 작다. -
미래
창조과학부 ... ...
“北 응용과학과 南 첨단과학 만나면 시너지 클 것”
2016.09.07
“북한 과학기술은 산업현장의 문제 해결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요. 반대로 남한은 첨단
미래
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가 많죠. 통일이 된다면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겁니다.” 최현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정보서비스실 NK테크사업단장(55)은 국내에서 북한의 과학기술 현황을 가장 잘 알고 ... ...
차량 종류까지 분석하는 아리랑 7호 2021년 발사
2016.09.06
지난해 3월 발사한 아리랑 3A호의 경우 0.5m의 해상도로 판독능력이 약 3.4배 향상된다.
미래
부는 아리랑 7호 개발에 필요한 위성 시스템, 본체 등의 설계부터 검증까지의 전 과정을 국내 기술로 개발할 계획이다. 총 비용으로 3100억 원이 투입된다. 아리랑 7호는 한반도 지역의 기후변화와 국토, 재난 ... ...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
과학동아
l
2016.09.05
낮춘다. ④ 건물의 보를 제거해 위층의 슬래브가 바닥에 오도록 한다. - Kajima 제공 ●
미래
엔 레이저로 해체할 수 있을까 이런 모든 문제를 해결할 해체 공법도 있다. 지금까지 소개한 모든 공법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해체하는 탑다운(Top-Down) 공법이었지만, 반대로 아래부터 해체하는 컷앤다운(Cut and ... ...
[캐치 업! 구글 (11)] 구글 폰 새 브랜드는 픽셀?
2016.09.05
최근 토니 파델 네스트 창업자가 사임하고, 구글이 네스트나 보스턴다이나믹스 등
미래
사업을 위해 인수한 회사들에 성과를 요구하면서 관련 조직들이 흔들리는 상황이라 이번 통합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지는 미지수입니다. 그리고 구글은 '온허브'라는 가정용 인터넷 라우터 제품도 파고 ... ...
“논문 무료로 공개하라”…세계는 지금 ‘오픈 액세스’ 혁명
2016.09.04
끌려다니기 쉽다”고 말했다. 한국에선 컨소시엄을 공공기관이 주도하고 있다.
미래
창조과학부 산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케슬리(KESLI) 컨소시엄과 교육부 산하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컨소시엄이 대표적이다. 이 둘은 협상력 강화와 비용 절감을 위해 내년 1월 1일부터 케슬리 ... ...
이전
598
599
600
601
602
603
604
605
6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