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뉴스
"
논문
"(으)로 총 6,520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시하기 쉬운 암 증상 10가지… 꼭 한번 체크해 봐야!
동아닷컴
l
2015.02.02
건강사이트 프리벤션닷컴이 미국 과학공공도서관저널(PLOS One)에 게재된 영국 런던대학의
논문
을 토대로 ‘사람들이 무시하기 쉬운 암 증상 10가지’에 대해 밝혔다. 1. 덩어리나 혹이 만져 진다. 암 환자 대상의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7.5%가 몸 안에 원인 불명의 덩어리가 있음을 감지했다. 그러나 ... ...
[중력파 검출 파문] 빅뱅 증거 찾았다더니 다시보니 ‘우주먼지’
2015.02.02
발표한 것이다. 원인은 유럽 연구팀의 지적대로 우주먼지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논문
에서는 데이터를 재차 검증한 결과 중력파의 명확한 증거를 찾았다고 볼 수 없다고 결론짓고 있다. 이종필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BK 사업단 교수는 “유럽우주기구 측은 관측위성을 이용해 더 다양한 ... ...
신용카드를 보면 그 사람을 알 수 있다
2015.02.01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며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정책을 펴야 한다고 강조하는 리뷰
논문
을 냈다. 이밖에도 이번 주 사이언스에는 드론이 사생활에 미치는 영향과 병원에서 기록한 환자의 개인정보가 샌다는 것 등 개인정보유출과 관련된 10가지 뉴스와 함께 디지털시대의 사생활 보호는 잊혀진 ... ...
도시 속을 걸으며 우주를 공부한다
2015.02.01
진행자다. 오스트리아 빈 대학 천문학 연구소에서 소행성에 관한
논문
으로 박사
논문
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번역은 파리 3대학에서 불문학과 독문학을 공부한 전문 번역가. 번역에 만전을 기하기 위해 김찬현 유럽원자핵공동연구소 출신 박사가 감수를 맡았다. ■사회적 뇌 인류 성공의 ... ...
[인터뷰] “나는 곧 나의 ‘커넥톰(Connectome)’” 서배스천 승 美 프린스턴대 교수
2015.01.30
전달되는 신호의 시차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당시
논문
에는 아이와이어를 이용한 게이머를 지칭하는 ‘아이와이어러(the EyeWirers)’가 저자로 포함됐다. ●“20년 안에 ‘커넥톰’ 완성할 수도” 승 교수는 이르면 올해 말 ‘아이와이어 2’를 공개할 ... ...
[오보카타, 그후 1년] 파면으로 끝난 ‘과학계 신데렐라’
2015.01.30
지난달 21일 이화학연구소에서 파면 당한 뒤 현재 거처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박사학위
논문
도 날조된 것으로 밝혀져 와세다대가 조만간 박사학위를 철회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 ...
액정 모니터는 네모에 딱딱하다고?
2015.01.29
국내 연구진이 압력, 구부림 등 기계적 변형에 강하며, 모든 방향에서 균일하게 색이 나타나는 특성을 가진 신개념 액정 제조 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 김윤호 한국화학연구 ... 재료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27일자 표지
논문
으로 게재됐다. ... ...
아니, 의사 양반 이게 무슨 소리요? 병원이 나쁘다니…
과학동아
l
2015.01.27
있는지가 중요한데, 잘 모르면 엉뚱하게 인용하기 쉽습니다. 전체 맥락과 무관하게
논문
의 한 구절을 침소봉대해 전혀 다르게 해석하는 건 사이비 과학책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 상관관계는 인과관계가 아니다 그러면 저자의 주장을 몇 개 인용해 보겠습니다. “자연에 존재하는 천연의 ... ...
“세계는 줄기세포 전쟁중… 미국에만도 연구팀이 1000개 이상”
동아일보
l
2015.01.26
했다) 벌어진 일이었다. 과학적으로 가장 중요한 ‘재현성’의 문제도 해결했다. 내
논문
을 토대로 두 연구진이 똑같은 결과를 낸 것이다. 미국 내에서 문제 삼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 국내 연구 10년간 스톱… 승인 한 곳도 못받아 ▼ 한때 줄기세포 강자였던 한국은 지난 10년간 ‘황우석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
2015.01.25
부정하지는 않았다. 게다가 하이젠베르크의 설명 방법이 맞다고 주장하는 또 다른
논문
이 작년 ‘피지컬 리뷰 레터’에 실렸다. 누가 맞는지는 아무래도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불확정성원리는 물리학조차 완전하지 않다는 걸 보여준다. 괴델의 불완전성정리와 함께 과학과 수학의 한계를 ... ...
이전
596
597
598
599
600
601
602
603
6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