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가
통과
패스
가결
철조
스페셜
"
투과
"(으)로 총 136건 검색되었습니다.
백신 안통하는 오미크론 변이...새해 코로나 바이러스 진화 방향은
동아사이언스
l
2021.12.24
투과
전자현미경(TEM)으로 촬영한 코로나19 바이러스. 미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IAID) 제공.미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 제공. 지난달 말 등장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급속히 확산하며 각국에서 속속 우세종으로 자리잡고 있다. 과학자들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 ...
국내 연구진 코로나19 잡는 인공광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2.23
투과
도가 높은 근자외선은 피부에 노출될 경우 질병을 유발한다. 반면 심자외선은 피부
투과
도가 낮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과학자들은 이에 따라 심자외선 LED 개발을 노력해왔다. 소재로 주로 질화알루미늄갈륨이 사용됐는데, 이 소재는 파장이 짧아질수록 발광 ... ...
증상은 경증·감염력 델타변이 2.5배 이상·재감염 위험…추가접종 통해 면역력 보완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12.05
투과
전자현미경(TEM)으로 촬영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모습.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인 ‘오미크론’의 위협이 커지고 있다. 오미크론은 감염과 백신 면역에 연관된 스파이크 단백질에 집중적으로 변이가 생겨 기존 변이보다 ... ...
[랩큐멘터리] 2차원 물질이 만드는 공간, 에너지·환경 혁신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1
특성을 찾고 있다. 대표적인 2차원 물질인 이황화몰리브덴 조각을 적층시켜 만든 막을
투과
하는 물질 전달 양상을 연구하고 있다. '3세부 연구실'에서는 앞선 연구실에서 합성한 멤브레인 소재를 에너지기술과 환경기술에 적용하기 위해 공학적으로 디자인하고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해수 ... ...
지뢰제거 작전에 AI 투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6
지뢰를 탐지하지 못한다. 그 대안으로 지표면이나 지하 매설물 조사에 사용되는 지표
투과
레이더(GPR)를 사용하고 있는데 사용자 숙련도에 따라 정확성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과기정통부와 국방부는 올해 5월 지뢰탐지 솔루션 개발사업에 착수했다. 군이 보유한 지뢰 위치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군 ... ...
밥상 위 농산물, 초미세플라스틱 복합 오염 위험에 노출
동아사이언스
l
2021.11.16
복합 오염된 토양에서 ‘애기장대’를 키워 21일 된 뿌리와 잎의 횡단면 세포를
투과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했다. 애기장대는 식물 발달 및 생리학 연구에 주로 사용되는 배추과의 모델 식물이다. 분석 결과 세포 내 초미세플라스틱의 입자 크기는 평균 30nm로 확인됐다. 이는 토양 내 최초로 ... ...
"혈전 발생 위험, 코로나 백신 접종 후보다 감염됐을 때 더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7
투과
전자현미경(TEM)으로 촬영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모습.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을 맞았을 때보다 맞지 않고 코로나19에 감염됐을 때 혈전이 생기는 위험이 더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약 2900만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방사능의 발견
2021.08.19
반면 감마선은
투과
력이 아주 좋아서 두꺼운 콘크리트나 납덩어리가 필요하다. 알파선은
투과
력이 낮아 안심해도 될 것 같지만, 만약 알파선을 내는 방사성 물질이 몸 속으로 들어온다면 사정이 달라진다. 방사선의 내폭에 따른 세포손상 위험도 항상 염두에 둬야 한다. 서로 다른 종류의 방사선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X선의 발견, 20세기 물리학의 시작
2021.08.05
보였다. 이런 현상은 그때까지 알려진 음극선의 성질과는 전혀 달랐다. 음극선은 그렇게
투과
력이 좋지 않았다. 뢴트겐은 책뿐만 아니라 나무나 고무 등도 X선을 막지 못함을 알아냈다. X선의 관통을 막기 위해서는 1.5mm두께의 납이 필요했다. 밤잠을 설쳐가며 새로 발견한 신비한 X선의 성질을 ... ...
[랩큐멘터리]철강재료 특성 결정하는 미세조직의 세계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8
미세조직설계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실은
투과
전자현미경을 활용해 철강재료 내부 구조를 샅샅이 살피고 이를 토대로한 합금설계와 열처리 공정 제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허 교수는 아직 밝혀야 할 철강재료의 비밀이 산더미라고 설명한다. 가령 건물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